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찍은 것이었다. 뉴호라이즌 탐사책임자인 앨런 스턴 사우스웨스트연구소 박사는 “뉴호라이즌은 명왕성과 카이퍼벨트 천체를 탐사한 최초의 탐사선인 동시에 가장 빠른 탐사선”이라며 “이제 역사에 기록된 어떤 우주선보다 먼 우주 공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쌓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서북극해에서 2010~2015년 여섯 차례에 걸쳐 아라온호로 탐사를 진행해 해저 지형 및 천부해저지층 탐사 자료를 획득하고 퇴적물 코어를 다량 시추했다. 특히 2015년 여름 제6차 아라온 서북극해 탐사에서는 척치 해와 동시베리아 해역에서 처음으로 14m 길이의 퇴적물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동물5. 수업 지도 순서좋아하는 강아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면서 수업에 대한 호기심을 유도 한다. ▶ 2018년 개띠 해를 맞아 과학과 관련된 특별한 이색 강아지 후보 프로필을 간단히 소개 한다. ▶ 네 후보 중 자신이 마음에 드는 강아지 한 마리를 선택해, 같은 강아지를 선택한 ... ...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다는 사실도 추가로 확인했어요. 현재 목성 대적점의 크기는 1만 6000km로, 1979년 보이저 호가 관측했던 크기보다 3분의 1 정도 줄었지요. 스콧 볼튼 연구원은 “앞으로 주노 탐사선이 보내주는 정보를 토대로 대적점의 형성 원리를 정확히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되돌릴 수 없다면 산호가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며 “산호의 생존력이 늘어나지 않는다면, 해양 생태계 전체가 무너질 만큼 해양 생물의 다양성이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 ...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온결합을 이뤄 짜지 않게 만드는 일입니다. 두 번째 역할은 단백질 간의 소수성 상호작용과 이온결합으로 나타나는 단백질 엉김(protein aggregation)을 이용해 수분과 다른 재료들을 단단히 붙들어 요리로 완성시키는 ‘결착’이지요. 우선 첫 번째 역할은 라면에 계란을 풀었을 때 평소보다 라면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고작이었지요. 이후 30년이 지나서야 두 다리로 자연스럽게 걷는 로봇인 ‘아시모’가 만들어졌답니다. 로봇이 걷는 것도 어려운데, 스키는 어떻게 타는 걸까요? 스키를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도망가기 바쁩니다. 실제로도 비슷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1937년, 비행선 힌덴부르크호의 수소 가스가 폭발해 승객 36명이 사망한 겁니다. 이후로 수소는 비행선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됐습니다. 요즘에는 수소 대신 안전한 헬륨 가스를 채운 비행선을 광고나 이벤트 용도로 사용하고 있죠. 미야자키의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름을 걸고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 참가자, 스텝과 관중까지 모두 안전하게 수호할 거니까! 스키점프 멀리 뛰기 비법은 엉덩이 각도? 동계올림픽에는 스키 종목이 많아. 그중에서 가장 스릴이 있는 경기는 스키점프가 아닐까 해. 스키를 장착한 채로 공중에서 날아오른 모습은 볼 때마다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단독행동이었을 수 있다는 겁니다. 김과동, 최기자가 등장할 이 드라마는 한국인이 선호하는 감동 코드로 끝을 낼 겁니다. 뻔하다고 해도 어쩔 수 없습니다. 실제로 장기이식이라는 큰 수술을 마친 뒤에도 많은 수여자들이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이겨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