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tuning fork)로 진동을 유도하면서 구슬과 빙판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과 액체층의 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액체층의 점도가 일반 물보다 최대 두 배 크다는 사실을 발견해 ‘피지컬 리뷰 X’ 2019년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X.9. 041025연구팀은 액체층 속에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요인으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람은 출혈이 지속된다. 와파린의 경우 약물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이 비교적 정확해 부작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편이지만, 자칫 그렇지 못한 경우는 위험할 수 있다. 유전자 변이의 빈도에 근거한 예측이기 때문에 한국, 일본 중국인 중 실제로 많은 사람이 부작용을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따르죠. 프로스트의 지적 능력이 다른 인공지능보다 뛰어나서가 아닙니다. 기계처럼 ‘측정’하지 않고 인간의 육체를 통해 ‘느끼기’ 때문입니다.이 두 작품은 모두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과연 의식은 하드웨어 혹은 육체와 무관하게 존재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하드웨어의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우리 기술을 실내에서 움직이는 로봇이나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분야에 사용하고 싶다는 제안이 곳곳에서 들어왔다. 이후 우리는 로봇, 지도, 차량 등 이동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빌리티 회사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수 있습니다. 최대 2m 깊이에 있는 지름 10cm 크기 작은 돌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드론으로 패턴을 읽다 GPR과 더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고고학 신기술은 ‘드론측량’입니다. GPR이 땅속을 보는 탐사법이었다면, 드론은 하늘 위에서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큰 ... ...
- [매스미디어]룰도, 심판도 없다...스토브리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야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타율, 출루율, 수비력 등의 지표를 측정한 뒤 지표 사이의 인과 관계를 찾아 팀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그래서 필요한 지표를 골라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게 중요하다. 원칙과 소신에 따라 팀을 바꾸는 백승수가 임동규를 방출하려고 결정한 ... ...
- [한페이지 뉴스] 진공인데 열에너지가 전달되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진공 상태에서 열전도가 발생한 것이다. 연구팀은 두 막 사이의 전자기장 등 물리량을 측정해 ‘카시미르 효과(casimir effect)’에 의한 양자 요동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카시미르 효과는 두 개의 금속판이 가까워지면 척력이나 인력 등의 힘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고전 물리 이론에서는 진공에서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지 1단의 성능과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그는 원격측정데이터 중 하나가 비정상값을 나타냈는데, 이것이 센서의 불량인지, 데이터 수신·처리 장비의 불량인지, 아니면 정말 1단이 잘못된 것인지 면밀한 분석을 했고, 그 결과 1단의 이상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논란은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판단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합니다. 그리고 위치 인식 및 위치 측정 기술과 힘 조절 제어 기술 등이 구현돼야 합니다. 지금 당장 실현하기 힘든 이유가 무엇인가요?기술이 정형화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해진 위치에서 똑같은 동작을 하는 로봇은 현재 기술로도 얼마든지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셈이다. 연구에 돌입한 장영실은 행성과 별의 위치, 시간, 고도 방위를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 간의를 개발했다. 간의가 개발되자 세종은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높이 9m, 너비 약 9m, 길이 14m에 이르는 천문관측소인 ‘간의대’를 만들라고 지시했고 1433년 8월 세자가 간의대에 가서 정초 등과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