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배"(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안녕하십니까? 어과동 이윤선기자입니다. 저는 지금 진짜 코끼리 코보다 더 코끼리 코 같은 ‘코끼리 코 로봇’이 있다는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생체모방로봇들의 닮은꼴 대회가 열리고 있는 이곳은 코끼리는 물론 도마뱀과 개미, 그리고 소금쟁이를 닮은 로봇까지 전세계에서 모인 로봇들과 이를 ... ...
- [출동! 명예기자]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서울 곳곳에 에너지를 살 수 있는 슈퍼마켓이 있다는 거 알고 있니? 도대체 에너지를 어떻게 사냐고? 얼마냐고? 우리도 그게 궁금했어! 궁금한 건 못 참는 우리잖아? 장바구니를 챙겨들고 당장 에너지슈퍼마켙으로 쇼핑을 떠나 보자! 어서 따라와~!※정확한 표기는 ‘슈퍼마켓’이에요. 하지만 에너 ... ...
- 치타 VS 표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TV에서 표범과 치타를 봤는데 똑같이 생겨서 구별하기가 어려웠어요. 장세민 (부산 센텀초 3)치타치타는 육지에 사는 동물 중 가장 빠른 동물로 알려져 있어요. 달리기왕 치타가 가장 빨리 달리면 속력이 시속 130km나 되거든요. 또 속도를 재빨리 높이는 것도 특징이지요. 단 2초 만에 시속 75km 속력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안녕? 2050년에 온 걸 환영해. 내 이름은 ‘미래’야. 우리 집에 왔으니 내가 맛있는 식사를 대접할게. 여기 곤충파스타, 배양고기, 스피루리나 주스와 3D 프린팅 후식까지 준비했어. 어때? 이만 하면 진수성찬이지? 어? 근데 다들 표정이 왜 그래? 뭐가 잘못됐어?2050년에 식량난이 온다고?아~, 다들 평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혹시 미래 식량의 대안 중 하나가 곤충 식량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개미나 메뚜기를 먹는다고 생각하니까 징그럽고, 못 먹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익숙하지 않으니까요. 하지만 왜 곤충이 미래 식량의 대안이라고 하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오늘날을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윽! 웬 똥이야! 밟을 뻔했네~. 똥파리도 잔뜩 있잖아? 우…, 우에엑!”위이잉~! 안녕, 난 똥파리야. 사람들은 참 이상해. 똥이 더럽다고 피하기만 하는데, 사실 똥은 우리 똥파리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정말 중요하게 쓰인다고. 똥이 뭐가 중요하냐고? 못 믿겠다고? 그럼 지금부터 날 따라와 봐.똥,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끝없이 펼쳐지는 수평선을 따라 배가 한 척 지나가고 있어요. 바람을 받아 팽팽하게 펼쳐진 돛이 아주 멋지네요! 돛에 써 있는 네 개의 알파벳 ‘TARA(타라)’가 이 배의 이름인가 봐요. 작은 그물을 자꾸 바다 속에 넣었다 빼는데, 대체 무엇을 하는 걸까요? 저렇게 작은 그물로는 물고기도 많이 잡을 ... ...
- 아이스크림 공장장 ‘ 배스친 로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썰렁홈즈, 큰일났어요! 아이스크림 공장이 엉망이 되고 있다구요! 이러다간 여름철에 아이스크림을 먹을 수 없게 될지도 몰라요. 도와 줘요, 썰렁홈즈!”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그늘 아래서 달콤~하고 시원~한 아이스크림을 먹는 꿈을 꾸며 낮잠을 자고 있던 썰렁홈즈에게 아이스크림 공장장 ‘배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안녕! 나는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메르스 바이러스야. 지난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과학자들에 의해 처음 발견됐는데, 올해 사람 몸속으로 들어왔다가 처음으로 대한민국에 오게 됐어. 그런데 사람들이 날 엄청 무서워 해. 나로 인해 아프거나 죽는 사람들이 생겨서 그 ...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디지털의 위협이던 양자 중첩, 새로운 기대주로컴퓨터의 역사에서 양자 중첩이 처음부터 환영을받았던 것은 아니다. 과거부터 공학자들의 목표는 ‘초소형화’였다. 그러나 그릇이 너무 작아지다 보니 양자역학의 세계로 들어왔고, 불확정성 원리를 만나게 됐다. 이는 컴퓨터가 0과 1을 제대로 구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