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정"(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Cosmological Principle)라고 한다. 당시 주류 학자가 아니었던 프리드만의 우주 모형은 인정받지 못했고, 이를 뒷받침할 증거를 찾기에는 천문학 기술이 충분히 정밀하지 못했다. 하지만 9년 뒤, 에드윈 허블은 외부은하의 적색편이와 우주거리를 동시에 관찰해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백성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해 조선으로 귀화했습니다. 이에 조선의 왕은 그간의 공의 인정해 두사충에게 땅을 하사했는데, 조선의 산세와 지세를 훤히 꿰뚫고 있던 두사충이 처음 정한 명당자리가 지금의 경상감영공원입니다. 아래 글과 현장에 있는 QR코드의 조건을 참고해 ‘대구의 맥이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미드십 엔진(Midship Engine)’은 이후 슈퍼카의 표준이 됐다.기술이 발전하면서 슈퍼카로 인정하는 차량의 최고 속도나 제로백 같은 수치는 변해왔다. 하지만 최첨단의 성능을 뽐내면서 안전하게 도로 위를 달리게 만들어 주는 원리만큼은 변치 않았다. 슈퍼카를 슈퍼카답게 해 주는 기술과 핵심 원리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쉽지 않았나.발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노벨 위원회는 CERN의 공로를 분명하게 인정했다. CERN의 모든 구성원은 두 학자가 노벨상을 받게 됐을 때 마치 우리가 상을 받은 것처럼 기뻐하며 흥분했다. 우리가 노벨상을 탈것이라는 기대는 전혀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개인이 아닌 기관에 노벨상을 주는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활발히 쓰이고 있다. 그래서 라마누잔의 업적은 오히려 죽은 뒤에 더 높게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라마누잔이 발견한 수학적 사실이 블랙홀의 엔트로피 계산과 같은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하디와 라마누잔의 공동 연구결과인 ‘하디-라마누잔 점근 공식’은 물리학에서 닐스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내리려 한다는 의구심을 평생 지우지 못했다. 공개적으로 항의하면 해밀턴의 권리를 100% 인정한다며 물러섰다가, 어느새 다시 심기를 건드린다고 분노했다. 다음 회에 살펴볼 오해도 마찬가지다 ... ...
- INTRO. 2016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다시 재활용하는 오토파지 과정을 밝힌 과학자가 차지했다. 노벨이 그려진 금빛 메달로 인정받은 올해 수상자들의 업적을 자세히 알아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업적 구분을 따져 보면 사울레스가 절반을, 코스털리츠와 홀데인이 각각 4분의 1씩을 인정받았다. 코스털리츠는 사울레스와 함께 앞서 소개한 2차원 위상 상전이 이론을 만든 사람이다. 소용돌이 생성을 매개로 한 상전이 이론을 완성하기 위해 당시로서는 생소하기 그지없는 새로운 수학적 이론을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설명하기 어려웠던 세포 내 기작까지 속 시원히 밝혀냈다. 당시 아무도 인정해주지 않던 분야였지만 자기 소신과 신념을 바탕으로 꾸준히 연구한 성과가 빛을 발했다.효모에서 관찰한 ‘스스로 먹는’ 청소오토파지는 세포 내에서 더 이상 필요 없어진 구성요소나 세포 소기관을 분해해, 다시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상세 평가를 실시한다. 그리고 성실히 연구를 수행했다고 판단되면 ‘성실 실패’로 인정한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불성실 실패’ 평가를 받은 연구자에게는 연구비 환수나 3년 동안 연구개발 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등의 불이익이 주어진다.비도덕적인 연구자들을 걸러내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