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소행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토대로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뉴호라이즌스는 보이저 1호와 2호에 이어 역사상 세 번째로 2020년 성간 우주로 진입할 예정이다. 한편 JAXA는 인류의 기원과 물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해 2014년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호를 발사했다. 하야부사 2호는 2018년 6월 당시 지구에서 약 2억8000만km ... ...
- 비하인드┃아폴로11 성공을 만든 결정적 장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올드린의 발자국과 올드린이 성조기를 설치하는 모습을 담았다. 아폴로 11호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하기까지 수많은 실패와 희생이 있었다. 아폴로 11호의 성공을 만들어낸 주요 장면들을 골라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아폴로1호 #아폴로7호 #아폴로8호 #아폴로9호 #아폴로1 ... ...
- 피플┃우주 산업은 왜 인공위성에 주목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세계우주주간 (World Space Week)’이다. 유엔이 1999년 제정한 세계우주주간은 우주 개발 역사에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 두 가지 사건을 기념한다. 1957년 10월 4일 러시아의 인류 최초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와 1967년 10월 10일 우주의 평화적인 목적을 위한 최초의 조약인 ‘국제우주조약’ 발효다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었던 것이 불과 100년 전이니, 45억 년이라는 지구 행성의 긴 역사에선 터무니없이 짧은 기간임은 분명하다. 지금까지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외계생명체의 신호가 없을 것이라고 섣불리 판단할 수 없는 이유다 ... ...
- 질서┃우주의 태초···우리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생긴 걸까? 최초의 별은 어떻게 생겼을까?우리가 빛이라는 타임머신을 타고 우주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건 우주의 탄생(0초) 후 약 38만 년이 흐른 시점까지다. 이때부터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빛이 우주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했기 때문이다.그 사이(0초~38만 년)에 벌어진 일을 알기 위해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존재를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계인의 존재를 탐구하는 것은 역사나 과학을 공부해야하는 것과 같은 이유라고 본다. 이런 학문을 통해 우리는 세계를 이해하고, 그 속에 살아가는 생명체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폭넓게 이해하고 있다. 외계인이 지구에 있든 저 멀리 떨어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그는 “일본인이 국제우주정거장의 선장이 된 것은 나뿐만 아니라 일본의 유인 우주개발 역사에서도 큰 변환점”이라며 “앞으로 다른 많은 나라의 우주인들이 국제우주정거장의 선장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길 바라고,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에 언젠가 한국 우주인도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인류 역사상 최대의 과학 실험장치로 꼽히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LHC는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최초로 발견하면서 전 세계에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 LHC는 지하 175m 깊이에 둘레 27km인 원형 터널 안에 놓여 있다. ...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데, 아버지와 함께 강연에도 참석했어요. 유산균 발견의 역사에 대해 배울 수 있었어요. 또 직접 요거트를 만들기도 했지요. 그리고 기사도 썼답니다. 아버지와 즐거운 추억을 쌓을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어요. 은 우리 가족을 똘똘 뭉치게 해준답니다! 마지막으로 ...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화학자 루이 파스퇴르와 러시아의 생물학자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였어요. 유산균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두 사람이지요. 파스퇴르는 세균이 자연발생한다는 당시의 주장을 뒤엎고, 세균이 탄저병과 닭 콜레라 등의 질병과 관련이 있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한편, 유산균의 아버지로 불리는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