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설치
설치물
장치
센터
시설물
세트
d라이브러리
"
시설
"(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전체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산다. 산업화된 국가는 4분의 3 이상이다. 이 중 일부는 위생
시설
조차 변변찮은 슬럼 거주민이다. 2003년 유엔인간정주계획(UN-HABITAT) 추산 10억 명. 그러니까 7명 중 한 명 꼴이다. 이런 곳은 전염에 더 취약하다.이런 경제적인 ‘끝장’이 가능한 것은 인류가 진화적으로는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중저준위폐기물에 비해 방사능이 강해 주민을 설득하는 일도 더욱 어렵다. 중간저장
시설
을 만들어 보관한다고 해도 수십 년 동안만 시간을 버는 셈이니 그 사이에 해결해야 할 일은 여전히 많다.[중저준위폐기물을 처리할 목적으로 경주에 짓고 있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모습. 현재 공사율은 90% ... ...
녹색 마녀의 비밀 WICKED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약 17억 배나 더 센 자기장이다.하지만 이 정도로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 수 있는
시설
은 지구에 아직 없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어 유지할 수 있는 미국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의 자기장 세기는 약 100테슬라(과학동아 2012년 6월호 ‘지옥보다 독한 극한 실험실5’ 기사 참조) 정도다.]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약 600만명 주민이 9시간 동안 전력 공급을 받지 못했다. 태양 폭발이 일어나고 나서 송전
시설
이 마비되기까지 단 90초 밖에 걸리지 않아 대처할 시간이 전혀 없었다. 이 때 일본은 통신위성 절반이 파손됐다.이처럼 우주날씨는 지구에 사는 우리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어 우주날씨 예보는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전기차가 훨씬 많아질 것이다. 그러나 배터리 개발이 성공할지 확실하지 않은데다 충전
시설
등 인프라까지 생각하면 전기자동차가 갈 길은 아직 멀다. 그렇다면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대세로 자리잡는 것일까.[현대 소나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설계도. 소나타 하이브리드는 병렬형하드 ... ...
적정기술, 36.5℃의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전수할 수도 없다. 담수화공장을 운영할 만한 능력과 공장을 움직이게 하는 전기
시설
이 없기 때문에 여전히 기술의존은 계속된다. 물부족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위해서는 마을 사람들이 스스로 담수를 만들 수 있는 ‘작은 기술’이 필요하다. 문제가 발생하면 그들이 직접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오염에도 대처할 수 있다. 더구나 서울과 낙동강 등의 정수장 일부는 이미 고도정수처리
시설
을 갖춰서 이중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안심해도 좋다. 다만 남조류의 독성은 처음 맞는 사태니 지금부터라도 조사와 연구를 해야 한다. 무엇보다 원수인 강물의 오염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그냥 둬서는 안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대학원에서도 융합연구가 가능하다. 교수, 대학원생, 학부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연구
시설
인 ‘연구지원본부’도 고가의 첨단 장비를 모두 공유해 서로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첨단 장비가 없는 국내 타 대학이나 기업체 연구소에도 개방, 문턱을 없앴다.UNIST는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고에너지 가속기 건설은 어떨까. 일단 새 가속기를 짓기는 쉽지 않다. 가속기는 거대 연구
시설
로,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를 할지 계획이 세워진 상태에서 건설된다. 그런데 힉스 입자 관측에 성공하면서 이제 표준모형에서는 더 이상 매달릴 부분이 별로 남지 않게 돼 건설 필요성을 설득시키기 ... ...
레이저로 원전 연료 만들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꼽히고 있다. 하지만 이 공정은 분리 효율이 지나치게 높은 게 오히려 단점이다.
시설
을 소형화해 비밀리에 핵무기 재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황일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사일렉스는 원심분리 방식보다도 작게 만들 수 있다”며 “NRC의 승인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