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본
근원
기원
원천
기초
시초
씨앗
d라이브러리
"
뿌리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도 탈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물은 손수건을 통해 반대편의 컵으로 이동하지만 흙은 무거워서 그대로 남는다. 식물의
뿌리
에서 빨아올린 물과 양분이 잎 끝까지 올라가는 것도 바로 모세관 현상 때문이다. 손수건이 없다면 깨끗한 옷이나 천 등을 이용해도 된다. 단,지오의 더러운 양말은 절대 사절!실험2. 불을 피우자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SAOMAI)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제주도 남쪽 바다에 머물며 우리나라에는 약한 비만
뿌리
던 사오마이는 불쑥 힘이 강해져 불과 이틀 만에 우리나라를 관통했지요. 태풍은 정말 변덕스러워!태풍은 발생하기 3일 전부터 예측할 수 있어요. 예측 또한 태풍의 변덕스러운 성격 때문에 빗나가는 경우도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때 흙 사이사이에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비가 오지 않을 때 서서히 물을 내보내 주며
뿌리
가 흙을 잡아 주기 때문에 홍수와 산사태를 방지해 줘요. 우리나라의 숲에서 저장할 수 있는 물은 180억 톤이나 되는 엄청난 양이랍니다.다섯! 자연 치료사숲을 볼 수 있는 병실의 수술 환자는 숲을 볼 수 없는 ... ...
생태계에 꼭! 필요한 작은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수 있어요. 크기는 1cm가 안 되며 진한 녹색을 띠고 있어요. 물속을 살펴보면 가늘고 긴
뿌리
를 관찰할 수 있어요. 개구리의 입 주위에 흔히 붙어 있어서 개구리밥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답니다.장구벌레더러운 물이 고여 있는 웅덩이나 하수구의 물 속을 자세히 살펴보면 발견할 수 있어요. ... ...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통해 물이 증발하는 현상으로 물이 증발하는 힘이 물을 잎으로 이동시킨다.•
뿌리
압 :
뿌리
는 흙과의 농도 차이를 이용한 삼투 현상으로 물을 흡수하고, 이 때 흡수하는 힘이 줄기를 타고 물을 끌어올린다.•모세관 현상 : 줄기를 따라 존재하는 물관 속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얇은 관을 통해 물을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암석모래입자 크기의 화산재가 쌓여 만들어진 암석해조류는 육상식물처럼 줄기, 잎,
뿌리
기관이 뚜렷하게 구분돼 있지 않고 영양분과 물을 수송하는 관이 없다 대신 육상식물의 잎과 비슷한 모양의 엽상체가 있는데 잎과 마찬가지로 엽록소가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다마디가 없는 산호초 모양의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갖춘 박사들도 ‘
뿌리
’를 강조하는 장 고문의 말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그렇다면
뿌리
를 갖춘 다음에는?“누구에게나 인생항로에서 두 가지 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닥칩니다. 이럴 때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택하는데 두려움을 느끼지 말아야 합니다.”장 고문은 한 마디로 ... ...
부처님을 지키는 낙가산 눈썹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아래로는 기반암에서 떨어져 나온 암괴들이 경사면을 따라 늘어져 있으며 지금도 나무
뿌리
가 절리면을 파고 들어 쐐기작용을 함으로써 박리 현상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한편 보문사 석실은 동굴처럼 생겼지만 실제로는 판상 절리에 의해 눈썹바위보다 더 큰 깊숙한 모양으로 만들어진 또 다른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나 있는 모든 길은 / 가만히 있는 것 같지만 쉬지 않고 움직이는 그 구불구불한 길은 /
뿌리
나 가지나 잎 하나도 빠짐없이 다 지나가는 너의 길고 고단한 길은우글우글하구나 나무여 / 추위로 익힌 독한 향기를 몰고 꽃에게 달려가는 수액은 / 가지에 닿자마자 소리지르며 하늘로 솟구치며 터지는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뿌리
보다도 굵고 가지를 많이 치는 반면 삼나무 편백나무 등에 많은 내생균근은 균사가
뿌리
의 세포에 들어가 그 곳에서 가지를 치거나 자리잡는다홍조(紅藻)식물에서 볼 수 있는 무성포자(無性胞子)의 하나 돌김과 같이 체세포(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중에서 생식세포 이외의 것)가 그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