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복원한 두개골을 가지고 계산해낸 뇌용량은 465~560cm3이었다. 이것은 사람(1200~1600cm3)의 절
반
도 안 되는 수준이다. 심지어 직립보행을 처음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호모 에렉투스(900cm3)보다도 훨씬 작은 수치다.데이비드 로퍼 미국 버지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는 몸무게와 뇌 질량의 비율을 구해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모습이 보였다. 전술가의 예측 능력이 아쉬운 상황이었다.기자의 데뷔 경기는 약 한 시간
반
만에 끝이 났다. 바람의 힘, 용골의 묵직함, 바람을 가르는 선수의 전략을 눈으로 보고 느낀 경험이었다. 경험을 토대로 말하건대 요트 설계 부터 경기 전략까지, 요트 경기는 여느 스포츠보다도 과학적인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1년을 365일로 하면 오차가 생긴다. 이를 맞추기 위해 4년마다 2월에 1일을 추가한다. 일
반
적으로 연도가 4로 나눠떨어지면 윤년, 이중 100으로 나눠떨어지면 평년이다. 이 중 다시 400으로 나눠떨어지면 윤년이다.여왕이 태어난 날은 1758년 6월 3일이다. 이때부터 1859년 6월 2일까지 101년 동안 총 24번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때, 영희가 10일 때 등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또 한 시간. 토론을 시작한지 벌써 세 시간
반
이 넘었다. 기자는 이미 두 시간 전부터 말이 없다.)송 : 벌써 퇴근시간이 한참 지났다. 이렇게 오래 할 줄 몰랐다.이 : 나는 오래할 줄 알았다. 원래 수학자들이 독하다. 엄 : 이게 수학자들 연구방식이다.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벗겨졌다. 비밀을 밝힌 사람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토목환경공학과 게르트
반
데르하이덴 교수와 유진 스타로스틴 교수다.고무줄을 잡아당기면 줄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처럼 종이 띠도 휘었을 때 원래대로 펴지려는 성질이 있다. 이런 성질을 ‘탄성’이라고 한다. 두 교수는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덕분에 연재 당시에 고정 팬이 많았다. 이번 출간에 맞춰, 이 교수는 이 글들을 다시 1년
반
에 걸쳐 다듬고 보충했다.이 책은 우리 인류의 ‘몸’과 행동의 기원을 파고든다. 그런데 시각이 독특하다. 땅에서 직접 손으로 발굴을 하는 고인류학자만의 독특한 경험이 배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 ...
굿바이, 메신저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지름 16m 크기의 큰 구멍이 생겼어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구에서 보이는 수성의
반
대편에 충돌했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이 장면을 관찰할 수 없었지요.수성은 태양과 가깝기 때문에 탐사하기 어려운 행성이에요. 그래서 2004년 8월 3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수성탐사선 메신저호를 발사했어요. 두 ... ...
[수학뉴스] 세계 나무의
반
이 사라졌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문명이 시작된 뒤 인류가 약 46%를 베어낸 셈이지요.크라우서 박사는 “나무가 거의
반
으로 줄어들면서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며 “이것은 결국 인간의 건강도 해롭게 할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잉크 대신 살아 있는 세포나 단백질등을 층층이 쌓아 장기를 만들면 몸속에서 거부
반
응을 최소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3D프린터는 맨 아래부터 꼭대기 층까지 얇은 층을 겹겹이 쌓아올려 인쇄하기 때문에 손이나 기계로는 만들기 어려운 모양도 찍어낼 수 있다. 장기에 있는 미세한 혈관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만들어야 유저가 게임에 몰입할 수 있겠지요.게임 규칙은 수학이나 물리학에서 나온다.전
반
적으로 게임 디자인을 마치면 게임 규칙을 만들어야 합니다. 게임 규칙은 수학이나 물리학에서 영감을 받아 찾아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를 날려서 물체를 부수는 ‘앵그리버드’는 뉴턴의 운동 법칙을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