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얻었고, 둘 중 하나만 하고 싶진 않아요. 연구 과제를 가장 좋게 수행하려면 그것을 설명할 수 있고,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Q. 지금 연구하고 있는 주제는 무엇인가요? 저는 최근에 ‘디오판토스 안정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디오판토스 방정식에서 수 체계를 넓혔을 때 해가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안구공유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기억의 생성과 소멸에 따라 기억저장 시냅스의 크기가 달라진다는 사실이 증명됐죠. 시냅스가 기억의 물리적 실체라는 겁니다. 강 교수는 “다른 기억은 건드리지 않고, 공포기억을 저장한 시냅스만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선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doi: 10.1016/j.neuron.2021.07.00 ... ...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 작지만 큰 ‘용기’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페트 플레이크의 품질도 개선되고, 공정 비용도 줄어들 것”이라고 짚었다.펠릿 공정 투명 페트 플레이크는 이제 펠릿 공장으로 향한다. 여기서 잘게 썬 플레이크를 녹인 뒤 다시 굳혀 균일한 품질의 ‘펠릿’으로 재탄생시킨다. 우선 플레이크를 녹인 다음 선별장에서 미처 제거하지 못한 모래나 ...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학부 과정에서 반도체와 AI를 결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전 세계에 없다고 설명했다. AI와 반도체를 융합하려면 대학원 공부나 산업계 경험 등이 필요하다. 또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는 것과 졸업 후 바로 설계 인력이 되는 것은 다르다. 김병성 교수는 “반도체학과를 졸업하면 전문가로 ... ...
- [기획] 원자력과 LNG가 친환경? 논란의 택소노미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박수린 이수연 정민재 손민규 김경하 고서진 강현준 서예은 김지우반대 77.38%65명 독일, 포르투갈, 덴마크 등 “원자력은 친환경이 아닙니다! 친환경으로 분류하기엔 파괴적인 위험성이 있으며, 방사성 폐기물 처리 문제를 해결한 나라는 전 세계에 단 두 국가 뿐입니다.”체르노빌, 후쿠시마 원전 ... ...
- [통합과학 교과서] 안드로메다를 구해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지나지 않아 저 멀리서 어떤 사람이 날아왔어요.“내 이름은 페르세우스! 명을 받아 공주님을 구하러 왔습니다.”“앗! 그런데 여기는 어떻게 아시고….”“GPS 위성으로 위치 추적까지 싹 다 끝냈죠”그때 마침 나타난 바다 괴물! 페르세우스는 바다 괴물을 처치했습니다.“감사합니다. 여러분의 ... ...
- 쓰레기, 대체 얼마나 많은 거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거리 약 38만 3000km(=38,300,000,000cm)와 비슷하지요. 비닐 1개씩 덜 쓰면?우리나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하는 비닐봉지는 약 460개예 요. 한 사람이 하루에 한 개 이상의 비닐봉지를 사용하는 셈이지요. 우리나라 국민 전체로 보면 1년에 약 234억 6000만 개가 돼요.비닐봉지 1개를 만들 때 이산화탄소는 ... ...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수학동아 l2022년 07호
- 크기가 크게 달라질 때 액체에 의한 변화를 알아봤다는 점에서 차별점이 있다”고 설명했어요. ▲ 우유에 탄 도넛 모양 시리얼이 서로 모여 있는 건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계면 현상’이에요.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우유가 시리얼을 타고 올라가면 시리얼과 우유 사이에 경계면(계면)이 생겨요. 그 ...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따라 산업이 움직이는 사업이었죠. 그래서 확신하며 ‘참자’고 말은 못 했어요.” 40명이던 원전 담당 직원은 30명 정도로 줄었다. 시니어 직원은 이탈하지 않았지만 주니어 직원은 이직과 전직이 잇따랐다. 신규채용은 없었다.그는 팀장으로서 팀원들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하고 싶었다. 그러나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잘 못 자? 글 계속 쓰는 거야?”나는 맥락을 이해할 수 없었지만, 적어도 한 가지는 분명했다. 지수가 또 다른 나의 메시지를 보지 못한 거였다. 하지만 나와의 채팅방 특성상 객체 구분이 어려운 것은 별수 없었다. 나조차도 가끔은 이게 내가 쓴 말인지, 또 다른 내가 쓴 말인지 헷갈릴 때가 많았기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