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1,277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하는 최상위 포식자다. 아무르표범은 러시아 극동 지방에서 60~70여 마리가 남아있는
멸종
위기종이다.중국 하얼빈동물원에서 들여온 아무르표범이 지난 2006년 서울대공원에서 새끼를 낳으면서 관심을 끌었지만 현재 복원 프로젝트는 진행되고 있지 않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여우야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종은 약 170만에 불과하다(열대우림의 수많은 생물종은 정체도 모른 채 사라지고 있다).
멸종
위기 동물 복원은 인간이 더욱 건강하게 다음 세대를 기약할 수 있는 첫걸음이다. 집 근처 국립공원에 따오기와 황새가 놀러 오고 곰과 여우가 눈치를 살피는 모습. 머릿속에 떠올리기만 해도 한번쯤 살고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훨씬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을 텐데, 빠르게 쥐를 잡으려는 인간의 욕심이 결국 우리를
멸종
위기에 몰아넣은 것이지요. 우리는 북한에서 왔습니다그러나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2004년에 강원도 양구에서 우리 조상의 사체 한 구가 발견됐습니다. 인간들은 양구를 중심으로 인제, 고성, 경북 문경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95%가
멸종
했다. 유력한 범인 후보는 단연 기후변화와 소행성이다. 특히 백악기 말의 대
멸종
은 지름 10km 크기의 운석 충돌 때문이 거의 확실하다. 단기간에 급격한 환경 변화를 몰고 오는 데에는 외부 충격만큼 확실한 것도 없다. 당신은 운석 충돌을 고른다. 백악기처럼 거대한 크기도 필요 없다. 200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문제는 둘 사이가 부녀 관계라는 것이다. 이 상태로 두면 이곳의 큰대나무여우원숭이는
멸종
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 이르게 된 데는 1차적으로 사람들에게 책임이 있다. 집을 짓고 불을 피우는 데 사용하기 위해 대나무를 베어가면서 큰대나무여우원숭이가 살 수 있는 곳이 줄었기 때문이다. ... ...
독도의 괭이갈매기 탐방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앞으로는 강치도 독도에 복원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강치의
멸종
처럼 괭이갈매기도
멸종
위기에 있는 만큼 독도를 여행하는 많은 사람들이 괭이 갈매기에게 먹이를 줘서 괭이갈매기를 혼란스럽게 하거나, 너무 시끄럽게 하여 자연속에 사는 갈매기들을 괴롭히지 않았으면 한다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진화를 다룬 1파트에서 보았듯이 지난 5500만 년 동안 살았던 수많은 종은 대부분
멸종
했고 현재는 에쿠스속 8종만이 살아남았다. 이 가운데 에쿠스 페루스(Equus ferus)와 에쿠스 아프리카누스(Equus africanus)만이 가축화돼 각각 말과 당나귀로 인류와 함께 했다. 당나귀는 5000~7000년 전 오늘날 이집트 땅인 ... ...
미스터리 보고서 만약 좀비가 있다면?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사람이 뱀파이어 수를 관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은둔형인 뱀파이어를
멸종
시키는 것이 사회적으로 분명 최적의 선택은 아니었을 겁니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뱀파이어 수를 유지시켰을 겁니다.지금까지 모든 연구는 뱀파이어를 최상의 포식자로 여기고 진행되고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울고 있을게! "우리나라 고유종인 수원청개구리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요. 다른
멸종
위기종보다도 수원청개구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것 같아요. 수원청개구리가 어디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와 같은 정보는 종 보전과 복원에 반드시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의 힘만으로는 이런 정보를정확하게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E. ferus przewalskii)아종이 유일하다. 1966년 이 말이 몽골에서 발견되기 전 모든 야생말은
멸종
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귀중한 말은 현재 몽골의 산악지역에서만 드물게 볼 수 있다. 필자는 고비사막으로 몽골공룡탐사를 가던 중 우연히 이 말을 봤다. 그때 5500만 년에 걸쳐 다양하게 진화했던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