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련"(으)로 총 3,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파리까지 왔는데 직접 날려보지 않을 수 없었다. “오 뜬다! 뜬다!” 본사 2층에 마련된 드론 시험장이 쩌렁쩌렁 울리도록 감탄사를 내질렀다. 패럿 글로벌마케팅이사인 세드릭 델마스가 준 헤드셋을 머리에 막 쓴 참이었다. 델마스 이사는 스마트폰과 드론, 헤드셋을 와이파이(Wi-Fi)로 연결했다.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을 게을리 하지 않기 위해서 공동연구를 즐겨요. 혼자 연구하면 하기 싫을 때 놀기 마련인데, 공동연구자가 있으면 책임감이 높아져 어떻게든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에요. 또 혼자서는 풀 수 없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서 항상 공동연구를 한다고 설명해 줬어요.김 교수님이 최근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동물 중 그 동안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멸종위기 동물들에게도 관심을 갖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이벤트죠.2주 동안 진행된 투표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어요. 직접 투표 참여자와 홈페이지에서 댓글로 투표해 준 50여 명의 친구들을 합쳐모두 908명이 투표에 참여했죠.그 결과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난제가 남아있었다. 바로 초전도와 초유체 현상이다. 자연의 운동에는 마찰이 따르게 마련인데 이 두 물질계는 자연 법칙을 거스르듯 마찰 없이 전류와 물류(물질 자체의 흐름. 즉 초유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흐름)를 흘릴 수 있어 보였다. 이 두 문제는 1947년 레프 란다우가 초유체 문제를, 1957년 바딘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링, 솔로몬 매듭 등 구조가 흥미로우나 합성이 어려운 분자의 합성에 도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한편 스토더트 교수는 여기서 좀 더 나아가 전자가 풍부한 방향족 화합물과 전자가 부족한 방향족 화합물 사이의 인력을 이용해 로탁세인(rotaxane)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48화합물을 합성했다. 로탁세인은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다. 이사부호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선박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설비를 마련해 이런 조건을 가뿐하게 넘었다. 소음도 줄였다. 프로펠러와 엔진이 만들어내는 진동을 억제하는 탄성마운트를 설치해 수중방사소음을 기준보다 크게 낮췄다. 음파장비로 측정하는 정보의 노이즈를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보통 전자의수를 달고 있는 사람이 악수를 청하면 손가락 뼈가 으스러질까 봐 걱정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2008년, 터치바이오닉스는 미국 회사 리빙스킨을 합병했다. 이 회사의 기술로 아이림에는 사람 피부와 비슷한 재질의 인조 피부가 덮이게 됐다. 주름과 손톱도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말했다. 서로 격의 없이 생각을 나눌 수 있을 때 좋은 아이디어를 얻고, 연구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이비인후과용 ‘알파고’ 개발에 도전두 사람은 시도 때도 없이 만난다. 새벽에도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정도로 친해졌다. 서로 생각을 나누는 데 부담이 없다 보니 자연스레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개화 시기와 단풍 시기를 발표한다. 미래를 예측하는 일이다 보니 오차가 있기 마련이지만, 매년 개화에 비해 단풍이 오차 범위가 더 넓다. 같은 생물의 변화인데도 이런 차이가 생기는 건 무엇 때문일까.먼저 단풍 시기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알아보자. 현재 단풍 시기를 발표하는 곳은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동결전자현미경(Cryo-EM, 시료를 급속히 얼린 뒤 관찰하는 전자현미경)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그는 LMB의 차기 노벨상 후보로 꼽힌다.“당시 스타이츠 교수는 박사후연구원으로 LMB에 왔어요. 저는 박사과정 학생이었고요. 우린 둘 다 소화효소 중 하나인 키모트립신을 연구하고 있었지만 서로 다른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