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형"(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물을 섞어 구석구석 닦아 주지요.비행기가 떠오르다 활주로에서 조금만 미끄러져도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요. 그래서 공군부대에서는 눈 치우기를 ‘제설작전’으로 부르며 별도로 ‘제설본부’를 운영하고 있답니다. 활주로 제설작업의 선두에는 초특급 제설장비 ‘SE-88’이 앞장 서는데,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칠성장어(10%)는 동해로 흐르는 강과 낙동강에 살아. 주로 밤에 활동하는데, 흡반으로 대형 어류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흡혈어류지 우리나라 고유종인 수원청개구리(30%)는 충북과 경기도 지역에서 주로 사는데, 도시 개발로 서식지가 파괴돼 개체수가 빠르게 줄고 있어 안타까워. 성질이 온순한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교정해 줘야 한다. 최근에는 지구대기의 교란에 영향을 받지 않는 우주태양망원경이나 대형 태양망원경이 가동돼 흑점 연구가 크게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 밝혀진 관측결과 중에 재미있는 것들을 살펴보자.물질이 빠져나가는 태양의 작은 구멍많은 사람들이 흑점이 왜 어두운가 궁금해한다. ... ...
- 차세대 대형 발사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유럽은 스페이스X사의 ‘팔콘9 헤비’와 경쟁 구도가 될 다음 세대의 아리안 발사체를 두고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만 한다. 운영비 절감을 위해 현재 사용중인 아리안5 발사체를 개선할 것인지, 아니면 새 극저온액체 연료나 고체 연료를 쓰는 아리안6 발사체를 새로 개발할 것인지다.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있다.지형만이 윈난을 식물자원의 보고로 만든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도 내노라하는 대형 강줄기도 윈난을 지나간다. 중국에서 가장 긴 강인 양쯔 강(세계에서는 세 번째로 길다)을 비롯해 메콩 강, 살윈 강, 홍하 강 등 물줄기가 복잡하다. 강으로 인해 복잡해진 지형 덕분에 지역별 강수량도 600~230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따른다면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꽤 성공적인 종이다. 오늘날 지구에 존재하는 대형 포유류 중 인류보다 개체수가 많은 종은 없기 때문이다. 어떻게 이런 성공이 가능했을까. 고고학자가 현생인류의 적응 방법을 꼼꼼히 복원한 ‘크로마뇽’(더숲)은 우리의 조상에 대한 지식을 ...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저렴한 등유+액체산소 방식을 채택한 것”이라며 “미국 스페이스X가 보다 저렴한 대형 엔진을 연구하며 민간 우주 개발을 이끌고 있는 것처럼 저렴한 한국형 발사체 성공은 반드시 국제적인 경쟁력을 지닐 것”이라고 내다봤다.마지막 발사를 끝낸 나로호는 이제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달 탐사를 ... ...
- 2012 여수 세계박람회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세계 105개 나라가 참가하는 여수세계박람회 아닐까.바다를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초대형 과학 행사라고.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라면 모두 가 보고 싶을 거야. 그래서 우리 명예기자가 먼저 다녀왔지.얼마나 볼만하냐고? 우릴 따라와 보렴~. 여수EXPO 관람 베스트 3여기가 ...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사망했다). 이어 태양계의 여러 행성에 대한 근접 조사는 물론이고 우주 망원경과 지상의 대형 망원경들을 이용해 깊은 우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이르렀다. 그 과정에서 영국과 프랑스, 독일이 주축이 된 유럽연합(EU)과 중국, 일본, 인도, 이스라엘 등이 자국의 기술로 인공위성을 쏘아 올렸고 ...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대멸종을 겪었다. 유명한 중생대 백악기 말의 대멸종에서는 공룡과 암모나이트를 비롯한 대형 동물을 여럿 멸종시켰다. 고생대 말기인 2억 5000만 년 전의 대멸종은 육지와 바다를 통틀어 생물 종의 95%가 멸종했다. 유력한 범인 후보는 단연 기후변화와 소행성이다. 특히 백악기 말의 대멸종은 지름 1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