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말까지 도심에 5만 2263㎡의 정원을 만들 계획이다. 장소는 바로 높은 건물들의 옥상!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옥상에 나무를 심은 건물은 콘크리트 옥상 건물보다 6.4~13.3%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옥상에 깔아 놓은 흙은 산성비와 자외선을 막아 콘크리트가 부식되는 걸 막아 ... ...
천리안 위성, 우주로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이런 성공이 계속 이어진다면, 우리나라도 탐사 위성을 우주로 보내고 달에 기지를
건설
하는 날도 곧 오겠죠? 우주과학의 꿈나무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그 날의 주인공이 되길 기대할게요 ... ...
제9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이러한 첨단 과학 기술의 제품들은 끊임없이 아주 빠른속도로 퍼지면서 자유 민주 사회
건설
에 이바지하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더욱 견고히 하도록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사람의 본능이라면 과학 기술의 발전을 좋은 곳에만 쓰이도록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가둬 운전하는 기술이나 플라스마의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연구하고 있다. 내년 초
건설
을 목표로 소형 토카막 실험 장비도 직접 설계해 제작하고 있다.하지만 핵융합 기술만 연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핵융합 기술의 기본 전제인 플라스마는 그 자체로 대단히 재미있는 특성을 많이 갖고 있거든요.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리본을 타고 900m까지 오르는 데 성공했다. 국내에서는 항공우주연구원과 한양대
건설
환경공학과가 관심을 갖고 있다.우주엘리베이터라는 개념은 언제부터 나왔을까. 1895년 러시아의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는 정지궤도까지 치솟아 있는 거대한 탑을 떠올렸다. ‘천상의 성’이라는 이름의 이 ... ...
10대 기술 못지 않은, 미래기술 5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깨끗한 환경에서 농작물을 얻으려는 연구 역시 계속되고 있다. 빌딩농장은 지금도
건설
되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자동화된 공장형 농장기술이 발전할 것이다. 이 기술이 조금 더 진보한다면 우주농장에서도 식량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전자종이미래사회를 예견하면서 전자종이의 중요성을 빼 놓을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관이 서식지 외 보전기관으로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환경부가 2012년 말 준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국립생태원 역시 그 중 하나로, 대중을 위해 생태 교육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거대한 인공 생태계가 조성되므로 기후변화와 생태계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5. 멸종위기종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2040년 상용화를 목표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건설
한 연구용 핵융합로 KSTAR를 통해 중수소 핵융합 반응에 성공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또한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를 통해 국제적으로도 활발한 연구를 펼치고 있다.플라스마는 핵융합뿐만 아니라 ... ...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사람들도 인구조사의 필요성을 알고 있었다. 기원전 3600년경 이집트에서는 피라미드
건설
에 앞서 인구를 조사했다. 중국에서도 기원전 3000년경 토지를 나누고 세금을 걷기 위해 인구조사를 했다. 구약성경에는 고대 이스라엘 민족의 정확한 인구수치가 나타난다. 전쟁에 나갈 수 있는 성인 남자의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목소리도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다. 모토지마 사무총장은 “실험로인 ITER조차 2019년에야
건설
이 완료돼 첫 플라스마 실험을 할 수 있다”며 “에너지 문제는 10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