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용적
크기
부피
부피가 큼
막대함
거인성
d라이브러리
"
거대함
"(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태양계의 형성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약 46억 년 전 온도가 낮고 밀도가 큰 성간 물질에서 태양계가 형성됐다. 이 거대 성간 분자운은 어떤 과정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태양으로 성장했을까? 또한 태양 둘레에서 원시 행성 원반이 형성되고 그로부터 행성과 혜성이 형성되는 과정도 살펴보자.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상한 과학책이 나왔다. 제목은 평범하다. ‘모두를 위한 물리학’. 공부에 바쁜 학생이나 바쁜 어른에게 ‘꼭 읽어야 할 중요한 내용이 들어 있나?’하는 기분이 들게 하는 제목이다. 또는 누구라도 이 책을 읽으면 물리학을 이해하게 될 것 같다. 그것도 아주 쉽게. 그런데 내용은 전혀 딴판이다.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 편집자 주 - 본문에 나오는 ‘폭풍’은 ‘폭우와 우박을 동반한 폭풍 (사나운 바람)’을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스톰’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올해 미국에서는 6월까지 1330여 개의 토네이도가 발생했고 520명 이상이 사망했다. 미주리 주의 한 도시에서만 130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있었다. ... ...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Q. 과학벨트엔 무엇이 들어서나A. 기초과학 연구를 주도할 거대 기구인 ‘기초과학연구원’이 핵심이다. 거대 시설인 ‘중이온가속기’도 기초과학연구원의 부설기관이다. 기초과학연구원 산하에는 모두 50개의 연구단이 설치되며 과학기술에 특화된 대학과 연구단을 결합한 캠퍼스도 포함됐다.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담대한 도전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지켜보는 것은 언제나 가슴 벅차다. 2009년 5월 11일,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 호에 몸을 실은 우주비행사 7명의 임무는 바로 허블우주망원경을 구하는 일이었다. 허블망원경을 수리하고 관측기기를 교체하는 임무. ‘서비스 미션4’라 불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우주의 비밀을 품은 ‘신의 입자’와 ‘어둠의 입자’ 발견이 임박했다?지난 4, 5월 두 달은 입자물리학 역사에서 손에 꼽힐 긴박한 순간이었다. 4월 21일, 인류가 발견하지 못한 유일한 기본 입자이자, 다른 입자에 질량을 부여해 ‘신의 입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힉스 입자를 연상시키는 실험 데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물리학자들은 대칭성을 통해서 세상을 본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질서는 물질 세계의 근본에 숨어있는 대칭성이 드러난 결과다. 그러나 현실 세계를 보면 대칭성은 대부분 깨진 상태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덕분에 우리는 대칭성만 존재할 때보다 더 풍부한 자연 현상을 본다.물리학자 베르너 하이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7년에 걸친 관측 끝에 완성한 우주배경복사지도. 온도에 따라 색을 달리했다. 배경복사가 이렇게 균등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암흑물질의 존재가 꼽히고 있다.]1960년대 후반, 미국 카네기연구소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먼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를 관찰했다. 그녀는 나선은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931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이 대학 교수인 폴 디랙은 1902년생으로 당시 29세에 불과했지만 이미 영국에서 제일가는 이론물리학자였다. 특히 양자역학 분야에서는 전 세계를 통틀어도 그 앞에는 양자역학을 정립하고 불확정성의 원리를 내놓은 독일의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정도만이 있을 뿐이었다.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안녕? 난 개미야.”요즘 새 학기를 맞아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새로운 친구를 사귀느라 한창 바쁘다며? 그런데 그게 그렇게 쉬운 일만은 아니라고 하더군. 그래서 친구 많은 내가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비법을 알려 주려고 해.같은 개미니까 친구가 많은 건 당연하다고? 무슨 소리! 난 개미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