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아이 숙면 방해…“신경계 자극 받아 수면 질↓”
동아닷컴
l
2015.02.05
아이들은 콘솔게임기와 컴퓨터로 게임을 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특히 연구진은
전자
기기 사용에 시간을 할애하면 할수록 수면의 질이 떨어지며 잠이 들기까지 한 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을 발견했고 4시간 이상 TV·스마트폰 등의 화면에 노출될 경우 잠드는 데 1시간 이상 소요될 확률이 49%나 ... ...
스마트폰 4시간 이상 보면 1시간 늦게 잠들어
2015.02.03
나오는 빛이 생체시계를 교란시키거나 신경계를 자극할 수 있다”며 “나이별로
전자
기기 사용에 대한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사용 시간, 개수 등 구체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30년간 이론에만 존재하던 양자컴퓨터 소재 드디어 개발
2015.02.02
흐르게 만든 상태를 가리킨다. 초전도체는 전기저항이 없을 뿐 아니라 내부에 있는
전자
들의 상태가 일반 금속과 달리 모두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양자컴퓨터를 구현하는 소재로 주목받아왔다. 하지만 초전도체를 양자컴퓨터용 소재로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초단간극 탄도성 ... ...
포스코와 삼성테크윈, 그래핀으로 뭐할라꼬?
2015.02.02
필요한 규격을 만들어 관련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는 등 그래핀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전자
파 차폐 코팅재, 고성능 기체·수증기 차단용 필름 등 그래핀을 응용한 제품들은 조기 상용화시킬 방침이다. 또 모든 과제는 산학연 컨소시엄으로 추진되며, 미래부와 산업부가 연계해 기술이전과 ... ...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중력파의 명확한 증거를 찾았다고 볼 수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종필 고려대 전기
전자
공학부 BK 사업단 교수는 “유럽우주기구 측은 관측위성을 이용해 더 다양한 파장의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적이 가능했을 것”이라며 “다양한 장비로 연구를 계속하면 우주먼지 산란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덕분에 전기장 내에서 DNA는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 속도가 달라지고, 이 성질을 이용해 유
전자
를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이 친자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DNA 전기영동법의 기본 원리 중 하나다. 양자역학은 이해하기 힘들다. 그 해석에 대한 논란도 여전히 많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양자역학 없이는 살 수 ... ...
[우먼 동아일보] 허니버터칩~ 먹어보자!
동아일보
l
2015.01.30
2 감자를 끓는 물에 1분 정도 데쳐 물기를 뺀다. 3 분량의 허니버터소스 재료를 볼에 담아
전자
레인지에 1분 정도 돌려 녹인다. 4 데친 감자를 170℃로 달군 식용유에 노릇하게 튀긴다. 5 구운 감자에 허니버터소스를 넣어 재빨리 버무리고 다진 견과류와 파슬리가루를 뿌린다. Cooking Tip 햇감자를 ... ...
체온으로 전기 생산 ‘웨어러블 발전소자’ 상 받을 만 하네
2015.01.29
기술이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세계 10대 기술로 선정됐다. 조병진 KAIST 전기및
전자
공학과 교수팀은 지난해 4월 세계 최초로 개발한 웨어러블 발전소자 기술이 유네스코에서 주최한 ‘넷엑스플로 어워드(Netexplo Award)’에서 TOP 10에 선정다고 밝혔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한 이 상은 삶의 향상에 큰 ... ...
한국 소프트웨어 개발능력 국제인증 얻었다
2015.01.27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 SW·콘텐츠연구소와 융합기술연구소는 지난해 말 한국프로세스심사협회로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스파이스(SPICE) 레벨(Level) 3’ 인증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스파이스 레벨 3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표준 프로세스, 인력, 기반구조를 갖추고 있는 사업에 부여한다.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
동아일보
l
2015.01.26
상당한데 한국 정부는 제대로 활용해야 하지 않을까…. 한국은 바깥에서 보기에도
전자
나 자동차 같은 분야는 엄청 발달했는데 생명과학 쪽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 같아 안타깝다. 사실 미래 성장동력은 이 분야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그래서 미국도 규제를 몇 년 전부터 획기적으로 풀고 있다. ... ...
이전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