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조 밑바닥에 장치하여 해저면과 같은 높이에서 바다 밑바닥에 서식하는 갑각류의
몸
전체를 코앞에서 관찰하게 한 것은 프랑스인들만이 할 수 있는 발상이다.이들은 뛰어난 감각과 오랜 경험을 통하여 입체감나는 3차원 공간의 바다를 재현했다. 수심의 변화에 따른 어둠과 밝음의 미묘한 차이,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밀려 들어오는 모래를 먹는데 함께 들어오는 작은 동물도 부수적으로 얻게 된다. 때때로
몸
을 후진하여 항문을 올려 불소화 물과 모래를 굴 가장자리에 배출한다. 이 똥의 덩어리가 화산처럼 쌓이고 반대쪽 머리가 향한 구멍은 함몰돼 들어가면서 일정량의 모래가 쏠려 내려가 먹이의 계속적인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된 경우 등 이상발달로 인해 오히려 생존에 불리하게 돼 멸망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몸
길이 1m의 작은 공룡도 있었고 날씬하고 잘 달리던 것들도 있었는데 모두 절멸했던 것은 왜 인가?먼저 먹이 때문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예를 들면 공룡은 나자식물에 적응했었는데, 현화식물이 번성하게 됐을 때 ... ...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하는 곤충은 외부에서 재료를 구해 집을 짓는 반면에 불완전탈바꿈을 하는 곤충은
몸
속에서 분비하는 물질로 집을 짓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완전탈바꿈 곤충이 불완전탈바꿈 곤충보다 더 진화했음을 알 수 있다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대한화학회에서 펴낸 '화학인력총람'(1989년)을 보면 총 여성화학자(1백83명)중 대학에
몸
을 담고 있는 사람이 57명, 연구소에 1백22명, 기업에 4명이 재직하고 있다. 여성화학자를 다수 수용하고 있는 연구기관을 꼽으면 총원의 약 15%가 여성연구원인 한국화학연구소를 비롯해 한국인삼연초연구소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골침이 있어 적의 기습을 방어했다. 갑옷룡(그림 7)은 백악기 말에 나타났으며 온
몸
을 갑옷과 같은 골판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데코돈 목에서 갈라져 나온 익룡은 쥐라기 말 가까이에 처음으로 나타났다. 백악기 말에 나타난 프테라노돈 같은 익룡은 날개를 펴면 8m나 돼 멀리 날아갈 수 있었다. ... ...
감전 사고의 주 원인은 전압아닌 전류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전기가
몸
속으로 들어가면 입구를 통과하자마자 전류가 온
몸
으로 확산된다. 이렇게 온
몸
에 퍼진 전류는 출구지점에서 다시 모여 농축된다. 이 농축된 전기에너지는 다시 출구에서 전기저항과 마주치게 되므로 그 지점에서 열은 최고조에 달한다. 이래서 전기가 빠져나가는 지점(출구)부근에 멍든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고란초가 한때 자랐었다. 이곳이 백제의 마지막 군주인 의자왕이 거느렸던 3천궁녀가
몸
을 던졌던 낙화암이 아니던가. 관광객의 손을 탔기 때문인지 고란정 뒤 절벽에서 살던 고란초는 거의 사라졌으나 경내를 벗어나면 아직도 그 주변에서 고란초가 자라고 있다.고란초의 포자의 싹이 트려면 ... ...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발가락도 따로따로 붕대로 싸맨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20겹의 붕대나 수의가 한시체의
몸
에 싸여지게 된다. 그리고 한겹 한겹 쌀때마다 수지를 발라 접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 장례용 보석이 간간이 그 사이 사이에 넣어지기도 한다. 미이라 하나를 만들기 위해 수백 제곱미터의 아마포가 필요하다.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마취침도 사람에게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설령 거미에게 물려도 가려운 정도지
몸
에 영향을 줄만큼 해롭지 않다. 일본의 1%에도 못미쳐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기록된 거미 종류는 5백50여종, 그러나 한반도에 살고 있는 종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웃 일본에서만 1천2백여종이 ... ...
이전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