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중 가장 낮은 층으로 밀도가 높다. 유일하게 숨을 쉴 수 있는 대기층이기도 하다. 대류권
바로
위로 오렌지색과 푸른색 띠 사이는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면인 대류권계면이다. 오른쪽 위로 수줍은 듯 살짝 모습을 드러낸 물체는 달이다.스위스 베른 지역의 알프스 산맥에서 빙하가 녹아 흘러내리고 ... ...
한글은 자음의 색이 선명해요!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모니터의 숫자를 보고 색을 말해보세요.” 이씨는 노란색으로 쓴 ‘3’을 보고는
바로
“노란색”이라고 대답했지만 파란색으로 쓴 ‘4’를 보더니 한참만에야 “파-란-색”이라고 말했다.“노란색으로 보이는 ‘3’이 노란색으로 써 있으므로 금방 얘기하지만 빨간색으로 보이는 ‘4’가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라며 “이런 정도가 심해 은유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지경이
바로
정신분열증”이라고 설명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공감각 경험자처럼 생생한 감각의 교차를 체험하지는 못하지만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공감각에 바탕을 둔 은유에 둘러싸여 살고 있는 시인인 셈이다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변형된 프리온과 접촉하면 그 안내를 받아 바뀔 수도 있다. 이런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
바로
소에게 광우병을 일으키는 변형 프리온인 셈이다.변형 프리온은 정상 프리온을 자신과 같은 구조의 변형 프리온으로 바꾸는 ‘드라큘라’ 단백질이다. 따라서 소의 변형 프리온을 만난 인간의 정상 ... ...
뒤엉킨 전선 안녕, 와이트리시티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없다.이 뿐만 아니라 무선기술을 잘만 활용하면 에너지 부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바로
‘우주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우주 태양광 발전소는 말 그대로 우주에 건설돼 우주에서 생산한 전력을 지상으로 보낸다. 태양광 발전소는 지구에도 많이 있지만, 낮 동안만 ... ...
2030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안경을 쓰고 있어요. 장애가 있어도 불편하지 않게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외국어를
바로
번역해 주는 만국어 번역기도 나와 있지요. 하지만 핵폭탄보다 더 무서운 무기와 새로운 질병이 나타나는 등 부작용도 있답니다.과연, 실제 미래는 어떤 모습으로 펼쳐질까요 ... ...
“째깍째깍~” 식물의 생체 시계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위해서는 하루의 길이인 24시간을 정확히 잴 수 있어야 하는데, 이번에 발견한 피오나1이
바로
그런 역할을 합니다.”이번 연구는 24시간을 하루로 인식하게 해 주는 식물 생체시계의 핵심 유전자를 찾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어요. 또한 이 유전자를 없애면 생체리듬을 바꿔 꽃이 피는 시기를 ... ...
건강을 위협하는 척추 S라인 탈출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척추에 무리를 주는데다 혈관이나 신경이 눌려 좋지 않답니다. 한번 척추가 틀어지면
바로
잡기 힘들므로 평소에 다리를 꼬거나 구부정하게 앉지 말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세요.의사 선생님 감사합니다! 척추측만증에 대해 많은 걸알게 돼서 유익했어요. 앞으로 운동도 열심히 하고 바른 자세로 ... ...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있게 세공돼 있다.허공에서 돌아가는 시침 분침까르띠에하면 빼놓을 수 없는 아이템이
바로
시계. 손목시계를 대중화시킨 것도 까르띠에다. 그래서인지 이번 전시에는 시계가 유난히 많이 눈에 띤다. 1904년 처음 선보인 산토스 손목시계는 창업자의 손자로 이름이 같은 루이 까르띠에가 비행사였던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찾지 못했다면 67쪽 오른쪽 하단의 그림에 답이 나와 있다. 그런데 위의 그림을 보고
바로
정답을 맞추는 사람들이 있다. ‘색-자소 공감각’ 경험자로 이들은 글자나 숫자를 볼 때 특정한 색이 함께 보인다. 보통 사람들은 위의 그림을 보고 ‘5’ 사이에 섞여있는 ‘2’를 집어내기 어렵지만 ‘5’가 ... ...
이전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