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황사에 대한 주제발표가 있었다. 그때 기상청 산하 기상연구소 전영신 박사(41세)가
한국
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의 황사현상과 국제적인 공동연구의 현황을 발표했다. 그녀의 발표는 영국 BBC방송을 비롯해서 일본과 중국의 주요 매체에 소개될 정도로 화제를 모았다. 황사전문가인 그녀를 세계가 ... ...
금속과 코일의 숨바꼭질 한판승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방송됐다.앵커 : 국제 테러단체 소속의 테러범 한명이 금속 용기에 담긴 폭발물을 갖고
한국
행 비행기에 탑승했다는 소식입니다. 조금전 무장한 경찰이 공항으로 긴급 투입됐습니다. 그런데 현재 공항 검색대에 문제가 생겨 테러범이 지닌 폭발물을 감지할 수 없게 됐다고 합니다. 이에 공항과 ... ...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알츠하이머병 등 인간의 난치병 관련 유전자가 밀집돼 있는 19번 염색체의 해독에
한국
인 과학자가 개발한 실험방법이 크게 기여했다.부산 동아대는 최근 이 대학 자연대 생명과학부 임선희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 4월 1일자에 게재된 ‘인간의 19번 염색체 염기서열 규명’이란 논문에 ... ...
과학기술자 국회 진출 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인물은 이번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2번으로 정계 진출에 성공한 홍창선 전
한국
과학기술원(KAIST) 총장. 그는 당선 직후 “과학기술계의 직능대표로서 과학기술자들의 목소리를 가까이서 듣고 국회에 전달하는 일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숙명여대 화학과 교수 출신인 김명자 전 ... ...
건강한 혈관생성 단백질 세계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개발돼 심장병과 뇌중풍 치료에 획기적인 길이 열렸다.
한국
과학기술원(KAIST) 고규영 교수는 4월 13일 세계 최초로 ‘COMP-Ang1’ 이라는 혈관생성 및 혈관 내피세포 보호 단백질을 조정현 박사와 함께 만들었다고 밝혔다.이 단백질은 기존 혈관생성물질과 달리 건강하고 염증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발현 추적에는 마크로젠의 고밀도 DNA칩이 활용됐다. 마크로젠의 박현석 사장은 “이는
한국
의 유전자 분석 기술이 이미 세계 수준에 도달했다는 증거” 라며 “국내에서도 DNA칩을 이용한 유전자 연구가 활성화될 것” 이라고 기대했다.줄기세포 연구에 이용 가능성 그러나 엄밀히 말해 정자 역할을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철거하고 2010년부터는 오로지 새로운 시스템으로만 운용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한국
항공우주연구소 비행제어연구실장인 김종철 박사는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권고사항을 따르지 않을 경우 항공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불리한 입장이 될 수도 있다” 고 말했다.1980년대부터 미국과 러시아가 각각 GPS와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본격적인 제로에너지 하우스 연구에 돌입했다. 최초의
한국
형 제로에너지 주택의 원형은
한국
에너지기술연구원에 지은 ‘ZeSH’ 다. 건평 40평 규모의 이 연구용 주택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통합적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하는 제로에너지 개념이 적용됐다. 앞으로 10년뒤 경제성 있는 완전자립형 ... ...
재미 최현규 박사 세계 의학계 돌풍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세계적 의학 학술지 2곳에 한달 간격으로 잇따라 논문을 게재해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
인으로는 처음이며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일이다.주인공은 하버드대 매사추세츠 제너럴병원(MGH)에 근무하는 최현규 박사. 세계 최고의 의학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 오브 메디슨’(NEJ) 3월 11일자에 최 박사의 ... ...
지구촌, 여성 과학자 우대 바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1백18명만이 여성이고, 영국은 1천1백85명 중 43명, 프랑스는 1백90명 중 9명에 불과하다.
한국
에서는 4백66명 중 여성이 8명뿐이다.노벨상의 여성 차별도 매우 심하다. 7백20명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 중 30명만이 여성인데, 그나마 과학상 분야는 물리학상 2명, 화학상 3명, 의학상 6명 등 11명에 그치고 있다. ... ...
이전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