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고속도로 종합정보통신망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지난해 말부터 일반에 공개된 ISDN서비스.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지만 이를 출발점으로 20년대에 본격적인 정보고속도로가 완성될 예정이다.출장간 아빠가 집으로 전화를 거는데 계속 통화중이다. 긴급하게 엄마에게 부탁할 일이 있는데 한시간째 전화는 통하지 않고 '혹시 수화기를 잘못 내려놨나, ...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CD-ROM을 사기로 작정했다면 전송률, 평균 액세스시간, 버퍼의 크기를 확인하라. 그리고 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방식이 호환되는지를 살펴라.물건을 구입하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사람들은 대개 늘상 써왔던 물건이 아니라면 구매과정에서 꼬리표에 부착된 제품 특성을 먼저 읽는다. 가령 그것이 ...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무수히 많은 탄소화합물들이 나름의 체계를 갖고 분류되는 까닭은 '금기의 영역'에 도전한 과학자들의 공헌 덕택이다.알코올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술을 연상한다. 그리고 램프의 연료로 사용하는 마실 수 없는 알코올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부동액이나 서리제거제로 사용하는 것 ...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미생물보다 작은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영역을 오가며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감기·AIDS·암 유발의 원인, 바이러스의 정체는 근대에 들어와서야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바이러스(virus)란 용어는 라틴어로 독(poison)이란 뜻이다. 그래서 한문을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바이러스를 '병을 일으키는 ...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어쩌면 가상현실 연구는 인간이 컴퓨터를 고안한 순간부터 시작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산물은 우리가 피부로 느끼지는 못해도 이미 현실화됐다. 가상현실의 과거 현재 미래를 살펴보자.요즘 신문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XX 개발'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는 일은 그리 어려운 일이 ...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어떤 미지의 힘의 작용으로 생명은 정해진 운명에 따라 모습을 갖추어 나가는 것일까. 최근 과학계에서는 생물의 발생단계에서 형태를 조성하는데 안내 역할을 하는 유전자의 존재를 발견,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근착 '뉴욕타임스'에 소개된 '형태조성지시유전자' 발견소식을 싣는다.사람들 ...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자손이 그 부모를 닮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전의 법칙에 대해 과학적 접근을 시도한 선구자 멘델에게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어떻게 개는 자기와 닮은 강아지만 낳고 돼지새끼를 낳을 수 없는가?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엄마를 닮았느니, 아빠를 닮았느니 한다. 우리는 어떤 면에서 엄마, 아빠를 닮았 ... ...
-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한반도에는 세 방향에서 도래한 사람들이 모여 살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 눈동자에 흐린 눈썹은 황해바다 건너에서, 세로로 높고 가로로 좁은 이마와 큰 턱은 북방으로부터, 합죽이형의 꺼진 코허리, 넓은 코 유전자는 남방 해로를 통해 유입된 것 같다.에덴동산이 한국의 어디에 있었다고 하더 ...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바이러스는 일반 세포보다 1백만배나 빨리 변화한다. 이같은 돌연변이는 바이러스가 살아남는데 결정적인 무기가 된다. 최근 이 돌연변이가 보여주는 '경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호기심이 강한 판도라가 금지된 상자를 열었을 때, 그녀는 이 세상의 모든 슬픔 ... ...
-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CD-ROM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본격 멀티미디어를 구현시킬 이 기억장치는 종이의 시대를 거치고 자기의 시대를 뛰어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똑똑한 기억장치는 도대체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소위 '정보의 홍수'라는 말이 함축하고 있듯 인식능력의 고도화는 인간이 반드시 알 ... ...
이전6806816826836846856866876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