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 그만두고 더 많은 사람 도울 ‘스마트 벨트’ 만들어요”
2015.03.25
그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2014년 인턴 생활을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삼성
전자
에 근무하는 고등학교 동창에게서 함께 일을 해보자는 ‘러브콜’을 받았다. 모바일 스마트기기에 헬스 기능을 넣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의대 출신인 강 씨를 적임자로 추천한 것이다. 강 씨는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과 박욱 경희대
전자
전파공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먼지만 한 크기의 입자에 사람의 지문과 유사한 미세 패턴을 만들어 위조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25일자에 게재했다. 인공 지문이 ... ...
액체 상태의 나노물질 바로 ‘찰칵’
2015.03.24
있었지만, 액체상태로 살펴보니 끝과 끝(tip-ti-tip)이 붙어 조립됐다. 액체국면 투과
전자
현미경을 통해 금 나노막대가 조립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ACS Central Science 제공 또 연구팀은 전해질 용액에서 이온의 활발한 정도를 나타내는 ‘이온강도’에 따라 나노막대의 이동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있지만 이는 예외적인 현상이고 대부분은 기능이 있는 유
전자
에서 기능이 없는 유사유
전자
(pseudogene)으로 가는 변이인 경우다. 실제로 사람에서 FNDC5가 발현해 전령RNA가 만들어져도 이를 주형으로 만들어진 단백질의 양은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리보솜이 개시 코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 ...
“녹음했던 고객 음성, 빅데이터 정보로 활용”
2015.03.22
추출, 이 정보를 빅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자연어 음성인식 SW’를 개발해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이 기술은 콜센터에 녹음되는 고객음성을 실시간으로 컴퓨터에서 텍스트로 바꿔 마치 워드프로세서로 받아 친 ... ...
‘사이코패스’가 말하는 사이코패스
2015.03.22
역(逆)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정상인과 비정상인, 사이코패스의 뇌를 양
전자
단층촬영(PET)한 사진. 사이코패스의 뇌는 사회적 행동, 도덕성에 관여하는 안와피질(화살표)이 어둡게 나타난다. 이것은 해당 부위가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아 제 역할을 하지 못함을 뜻한다. - 더퀘스트 제공 ... ...
한국형 웹하드 기술 개발… “성능·용량 한 번에 잡았다”
2015.03.18
온라인 스토리지 공간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신개념 저장기술을 개발했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 김영균 스토리지시스템연구실장팀은 ‘고성능 클라우드 분산 파일 시스템 SW’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컴퓨터 한 대에 들어 있는 하드디스크 1개의 용량은 최대 수 테라바이트(TB)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착안했다. 연구진은 2개의 전극을 양쪽으로 이어붙인 뒤 그 위에 태양빛을 받아
전자
를 발생시키는 광활성층을 덮어 태양전지 박막의 층수를 최소화시켰다. 그랬더니 수천 번 구부려도 빛을 번기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떨어지지 않았다. 현재 개발한 태양전지의 효율은 불과 2~5% 정도지만 ... ...
신용카드보다 얇은 배터리 나왔다
2015.03.17
분야에선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며 “다양한 배터리 형태를 추가로 개발해 각종
전자
장비에서 쓸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나노과학분야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반도체 용량이나 속도를 큰 폭으로 늘릴 수 있어 각종
전자
제품의 성능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원일 한양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지름이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정도에 불과한 산화아연 막대의 지름과 길이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기술을 ... ...
이전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