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램프
스탠드
비탈길
경사면
배면
등고자비
자비
d라이브러리
"
등
"(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연날리기 경연대회가 열리고 23일엔 ‘JR’s Got Talent’, 10월 4일엔 유방암 주의 걷기대회
등
크고 작은 행사들이 계획돼 있다. 연구 외에도 많은 추억거리가 쌓일 것 같다.탐사의 막바지다. 주변에 열정을 불태우던 동료들도 이제는 좀 빨리 끝났으면 할 정도로 지쳐있다. 시추를 조기에 종료하기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포장된 물질을 내려놓고 배출되는 로봇이나, 목적지에 도착한 뒤 녹아 없어지는 로봇
등
이다.유 교수는 “기존에는 줄기세포를 주사로 주입해 특정 부위에 퍼져나가게 하는 정도였지만,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하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를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 ...
Part 3. 자기장과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나타나기 때문에 분석할 수 있는 자료가 제한적이랍니다.나카타 박사팀은 도로나 공사장
등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했어요. 일상 진동이 지하 구조에 따라 일정하게 변화될 거라고 생각한거죠.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지역에 있는 수천개의 지진센서에 기록된 일상 진동들을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예언이 사실이었다고 밝혀냈어요! 우거호 교수팀은 지구 핵 내부의 중력과 핵의 밀도
등
을 고려해서 실제로 지구 핵에 적용되는 시간을 계산했어요. 그 결과, 지구 핵의 시간이 1초마다 0.0000000003초씩 느린 것으로 나타났지요.매우 작은 차이지만 이 시간이 45억 년간 누적되니 무려 핵이 2.5년이 더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쓰이기도 해요. 그만큼 정확성을 인정받은 것이지요. 이정도의 기술은 미국과 독일, 일본
등
9개 나라만이 가지고 있답니다.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는?현재 가장 정확한 원자시계는 스트론튬 원자시계와 이터븀 원자시계예요. 스트론튬 원자시계에 사용하는 전자기파는 1초에 약 450조 번을 ... ...
[도전! 코드마스터] SW를 지켜라 백신 프로그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위해 실시간으로 컴퓨터를 검사하는 기능을 갖추게 되었어요. 또 스파이웨어, 랜섬웨어
등
의 여러 멀웨어를 고루 검사하고 치료하게 됐지요.컴퓨터를 검사하는 방법은 백신 프로그램에 따라 각각 달라요. ‘TS 엔진’ 방식은 파일의 특정 위치를 재빨리 훑어 보며 악성코드가 명령을 내리는 부분을 ... ...
[과학뉴스] ‘사이언스 로보틱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수 있다. 그밖에도 첫 호에는 코넬대 연구팀이 개발한 ‘질감을 감지하는 로봇 손’ 기술
등
네 개의 논문과 소프트 로봇 연구의 현황을 다룬 리뷰 논문이 실렸다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감영병 진단 빨라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초기 진행을 수 초로 단축할 수 있다.구 교수는 “앞으로 조류인플루엔자와 돼지콜레라
등
동식물 바이러스에 맞는 프라이머 데이터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과학뉴스] 근시를 막으려면 햇볕을 쬐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얼마나 시간을 보냈는지에 대해 물었다. 그리고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위치(위도), 날짜
등
을 고려해 참가자들이 쬐었을 자외선(UVB)의 평균치를 계산했다. UVB는 햇볕을 쬐는 야외활동 시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 결과 청소년기(14~19세)와 젊은 성인이었을 때(20~29세) UVB에 많이 노출될수록 근시가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부근 열대 우림에 사는 새일수록 날개가 짧고 둥근 경향이 있었다. 반면 유럽이나 북미
등
온대지역에 사는 새일수록 날개가 길고 뾰족했다.사는 지역에 따라 날개가 다르게 진화한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날개 모양이 새의 생활양식을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적도에서 먼 지역에 사는 ... ...
이전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