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스페셜
"
전기
"(으)로 총 1,320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에 붙여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유연성·효율성·대량생산 세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KIST)은 정승준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홍용택 서울대
전기
정보공학부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유연성과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해 높은 전력을 생산하는 신축성 열전소자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열전소자 인쇄 공정을 포함한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생산할 수 있는 ... ...
[과학게시판] ‘제1회 과학문화 혁신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표준공정(플랫폼)’ 상용화를 추진하며, UNIST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장치 및 수소·
전기
생산시스템’ 개발·상용화를 추진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26일 오후 3시 ‘제1회 과학문화 혁신포럼’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문화 다양성 시대의 과학문화 콘텐츠가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MOF를 활용한 흡착식 냉난방 시스템의 원리를 응용하면
전기
없이 낮은 열을 이용하고 뜨겁지 않은 바람을 배출한다. 그 앞에 간단한 온도 떨어뜨리는 장치를 대면 상온 이하의 공기만 나올 수 있다. 이 팀장은 “습도가 적으면 덜 덥다고 느끼기 때문에 현재 제습기에서 20도 ... ...
[과학게시판]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검정 접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카탈로그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구사항 및 개념모델’이 ‘국제
전기
통신연합(ITU) 표준화 회의’에서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계청은 23일부터 국가기술자격인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검정 접수를 시작한다. 빅데이터 분석기사 자격검정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일 분자 먼 거리 전송하는 '분자 전신'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거리는 0.1nm 단위로 조절할 수 있었고 속도도 초당 0.1mm 이상으로 빨랐다. 연구팀은
전기
장을 거는 두 개의 탐침을 놔 분자를 한 탐침에서 다른 탐침으로 전송 ‘분자 전신’에도 데도 성공했다. 송신 역할을 하는 탐침이 분자에 반발력을 걸면 분자가 수신 탐침이 위치한 곳으로 직선 궤적을 따라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얇아야 하는데 깨지기 쉽고 문지르기만 해도 손상되기 쉽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전기
방사 공정을 통해 실이 얼기설기 엮인 것처럼 얇은 층 2개로 이뤄진 센서를 개발했다. 한 층은 200~400나노미터(nm·10억분의 1m) 두께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됐고 다른 층은 센서의 전자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금 ... ...
[의학게시판] 건국대병원 소방안전대상 우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추천한 25개 사업장이 선정됐다. ■연세대 의대는 고 강진경 전 연세의료원장의
전기
‘작은 거인 강진경’이 출간됐다고 19일 밝혔다. 강 교수의 학창시절과 가족, 의과대학과 전공의 시절, 교수에서 병원장 등 일대기를 담았다. 2004년 타계한 강 전 의료원장은 연세대 의대 소화기내과 교수와 ... ...
[소재의 미래]⑴서로 다른 물질 만나는 '경계'에서 소재 미래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끌어올리기 어렵던 에너지밀도와 안정성이란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미국
전기
차 회사 테슬라 차량이 사용하는 배터리보다 성능을 30% 올리면서도 10년을 사용해도 초기 용량의 84%를 유지하는 양극소재를 개발했다. 김 단장은 “경계면에서의 에너지를 조절해 기존보다 강도는 10%, ... ...
연료전지로 나는 항모 드론·천체관측기술 들어간 급조폭발물 탐지기 우리 손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소개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기술센터는
전기
장과 자기장이 진동하는 빛에서
전기
장 진동 방향이 일정한 편광 현상으로 은폐·엄폐된 무기나 급조폭발물(IED) 같은 소형 자폭장치 등을 볼 수 있는 기술을 이번 대한민국 방위산업전에서 선보였다. 한정열 천문연 천문우주기술센터장은 ... ...
깨져도 스스로 복구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치유 투명 전자 소재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유리처럼 투명하고 강도가 좋으면서
전기
적 물성이 뛰어난 투명 폴리이미드는 모바일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 등 산업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재다. 균열이나 지속적인 손상을 해결해 내구성을 확보하려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일본 연구진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