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29건 검색되었습니다.
간단한 공정으로 이산화탄소만 쏙쏙 분리하는 분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선택적인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질소와 수소 원자가 결합한 '아미노 그룹'이라는 화학
작용
기를 포함시켰다. 새로 개발된 고분자 분리막은 기계·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유연하면서 내구성이 약한 탄소 분리막 수준의 우수한 분리 성능을 보였다. 대량생산에 적합한 공정으로 상업화에도 유리하다. ... ...
소규모 재생에너지 전력 '안심 직접거래'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진행된다. 별도의 장치 없이 손의 움직임을 추적해 가상현실 콘텐츠와 상호
작용
이 가능한 치매예방 디지털 치료기기를 개발 과제 및 기존에 사람이 직접 도로를 막고 진행하던 교량 진단을 드론으로 대체하는 과제도 바로 실증에 착수할 수 있게 됐다. 임요업 과기정통부 ... ...
[표지로 읽는 과학]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아니라 비단백질 화합물도 설계할 수 있으며 단백질과 비단백질 화합물 사이의 상호
작용
도 분석할 수 있다. 단백질과 비단백질 화합물을 어떻게 설계하고 결합하느냐에 따라 질병 치료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뛰어난 약효를 발휘하는 신약 개발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도파민이 너무 많이 분비될 경우 뇌는 도파민을 적게 생산하거나 도파민과 결합해
작용
하는 도파민 수용체의 수를 줄임으로써 도파민의 영향을 조절하려 한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쾌감을 느끼게 하기 위해 더 큰 자극이 필요해지는 셈이다. 한편 청소년들이 같은 자극에도 쾌감을 더 크게 느끼는 ... ...
"한국인 유전체DB·데이터 분석장비 절실"…생물공학 차세대 연구자들의 '일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개발을 하기까지 정확도, 상용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최근 소분자와 단백질의 상호
작용
을 예측할 수 있는 AI 도구가 나올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면서 AI 신약 개발에 대해 희망적이라고 했다. 한성규 인하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AI를 기반으로 유전자 서열 데이터를 분석해 질병을 ... ...
태양빛 받아 항해하는 우주 돛단배 24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이후 더 큰 돛을 사용하는 임무를 위한 데이터 수집이다. 우주 범선은 몇 주에 걸쳐 돛에
작용
하는 태양광의 압력만을 이용해 궤도 상승 및 하강을 시도한다. NASA는 이번 미션을 시작으로 연구를 거듭해 축구장 절반 정도 크기인 2000제곱미터까지 돛의 크기를 키울 예정이다. NASA는 "태양은 수십억 년 ... ...
파리 날개 근육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독특하면서도 아주 복잡한 부위인 '경첩'을 갖고 있다. 곤충의 경첩은 근육과 상호
작용
하며 날개를 퍼덕거리게 만드는 단단한 외피(공막)와 서로 연결돼 있다. 그동안 곤충이 공중을 날 때 경첩이 작동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연구는 쉽지 않았다. 공막들이 선명하게 촬영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 ...
[과기원NOW] DGIST, 순적색 초고효율 피부부착형 발광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개발했다. 또 설계한 분자가 단백질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단백질과 분자 간 상호
작용
패턴을 AI에게 학습시켰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15호에 실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고등광기술연구소(APRI)와 베트남 과학기술원(VAST) 산하 주요 연구기관, ... ...
"별 모양 금 나노입자로 약물 만들어"…테리 오돔 노스웨스턴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쓸 수 있다. 현재 그는 별 모양의 금 나노 입자가 약물로 활용될 때 생기는 부
작용
을 줄이는 방법을 살펴보고 있다. 별 모양의 입자가 다양한 단백질과 잘 붙는 만큼 몸에 들어갔을 때 또 다른 단백질과 결합함으로써 성능이 떨어질 수도 있어서다. 금 나노 입자의 상업화 가능성에 대해서 오돔 ... ...
강렬한 단맛이 쓴맛 줄이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않았다. 연구팀은 초파리 동물모델을 활용해 미각신경세포와 주변 미세환경의 상호
작용
원리를 살폈다. 초파리는 잘 익어 단맛이 강한 과일에 주로 알을 낳고 산다. 강한 단맛에 계속 노출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초파리가 강한 단맛을 맛볼 때 단맛 미각신경세포가 활성화되어 세포 주변의 전기적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