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뉴스
"
오늘날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명백해지고 있는데 생체이물 대사도 예외는 아니라는 말이다. 장내미생물 입장에서도
오늘날
인류가 섭취하는 다양한 생체이물 가운데 다수는 낯선 분자들이다. 실제 우리 몸 안에서는 소화에서처럼 생체이물을 대사하는데도 인체의 시스템과 장내미생물의 시스템이 이중으로 작동하고 있다. 두 ... ...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
2017.08.05
전에는 동굴이든 움막이든 자연에 밀착해 그대로의 환경을 이용했으니 말이다. 다만
오늘날
의 야영은 야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업 생산물로 만든 캠핑 전용 장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는 크다. 오늘의 야영은 생존이 아닌 여가활동이라는 점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천성이 게으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살던 시절인 6600만 년 전 화석이 발견된 초기 영장류인 퍼가토리어스(Pugatorius)는
오늘날
영장류보다 오히려 다람쥐나 쥐가 연상되는 데 발목뼈를 보면 나무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설치류와 영장류의 공통조상도 나무에서 살았고 그 결과 손놀림 회로가 진화한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 ...
[카드뉴스] 잠을 잊은 현대인,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29
어떤 대비책도 교대근무나 시간외 근무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건강에 나쁩니다. 하지만
오늘날
교대근무를 없애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지요. 부득이하게 야간작업을 할 때는 시간을 최소화 해 충분히 쉬어야 합니다. 그리고 5조 3교대가 기본인 북유럽의 사례처럼 노동자 수를 늘려 쉬는 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활동과 비슷한 운동을 꾸준히 해야 몸과 뇌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오늘날
에도 수렵채취인으로 살고 있는 탄자니아의 하드자 사람들. 뒷모습만 봐도 대사질환이나 신경퇴행성질환과는 거리가 멀 것 같다. 실제 이들이 심혈관계질환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 Brian Wood ... ...
운동량이 부족한 요즘 아이들, 운동시키는 법
2017.07.16
편하게 ‘적당량’의 휴식을 취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의 아이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앞에서도 잠시 언급한 TV, 컴퓨터게임, 스마트폰 등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입니다. 평균적으로 미국 아이들이 각종 스크린 앞에서 보내는 시간은 하루 7시간 반이라고 ... ...
유영민 미래부 장관후보자 “창조과학은 반(反)과학적”
동아사이언스
l
2017.07.04
못했다”며 오류를 인정했다. 오 의원은 유 후보자가 해당 저서에서 ‘뉴턴이
오늘날
연구를 했다면 엄청난 부자가 됐을 것’이라고 서술한 부분을 꼽으며 “기초과학 연구를 마치 돈 때문에 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지식을 쌓는 기초과학의 문화적 가치를 인정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과학자들은 물질과 반물질 소멸의 비대칭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오늘날
우주의 비대칭성을 제대로 설명하지는 못한다. 아무튼 필자에게 반물질은 허구나 과거의 존재로 여겨졌다. 제1형 초신성 폭발 과정에서 생긴 니켈56은 불안정해 코발트56과 철56으로 두 단계에 걸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잡혀있다. 그 뒤 턱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사랑니가 위치할 공간이 부족해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고 있다. - 네이처 제공 그런데 이번에 추가 발굴의 결과가 발표되면서 연대가 거의 두 배나 더 오래됐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와 프랑스 ... ...
[ESC의 목소리 (14)] 나는 왜 교양과학을 읽게 되었나
2017.06.17
것이기 때문에 믿음직한 것이 아니다. 최종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믿음직한 것이다.
오늘날
입수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이기 때문에 믿음직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현존하는 최선의 것인 까닭은 우리가 그것을 최종적인 것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이 아니라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