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뉴스
"
새
"(으)로 총 4,30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견디고 식량위기 해결할 밀 개발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사실을 알아내고 유전자 교정을 통해 열과 가뭄에 강한 밀 품종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새
품종은 수확량이 유지되면서도 야생 품종의 특성이 적용되는 것을 막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레이엄 무어 존이네스센터 소장은 "우리가 발견한 'Zip4.5B' 유전자는 최소 50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 ...
의약품·화장품 있게 한 '토끼'...대체 '오가노이드'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파수꾼이라 칭한다. 식물 다양성은 자연스레 여러 종류의
새
와 곤충 번성을 돕는다. 스페인 수렵자원연구소는 “토끼 개체수 감소로 지중해 지역에서는 지역 환경이 어려움을 겪었다”며 “토끼가 멸종된다면 지구는 재앙을 겪을 것”이라 국제학술지 ‘보존생물학’에 ... ...
한 달
새
4배 늘어난 BN.1 검출률…"3명 중 1명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BA.5 변이가 여전히 우세종인 상황에서 검출률이 다소 감소세를 보인 가운데
새
변이의 비중이 늘고 있다. 지난달 31일 기준 BN.1 변이는 24.4%에서 33.3%로 일주일만에 검출률이 8.9%P 올랐다. 코로나19 감염자 3명 중 1명은 BN.1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셈이다. 11월 셋째주부터 3주간 국내 BN.1 변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조직과 장기를 합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재료다. 재생의학은 치료할 수 없는 인체부위를
새
것으로 바꿔 주거나 사람의 치유 능력을 활성화하여 기능을 되살리고자 한다. 부족한 장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자신의 줄기세포로 재생능력을 발전시키면 면역거부 현상을 ... ...
차세대 정보소자 구현할
새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안정성과 위상 양자 효과를 이용하면, 외부 잡음에 월등히 강하고 정보 손실 없는
새
로운 양자 정보 소자를 구현할 가능성이 있다. 위상물질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이유다. 특히 위상물질군 중 하나인 ‘위상 마디선 준금속’이 주목받고 있다. 위상 마디선 준금속은 두 에너지 띠의 ... ...
서울아산병원 임직원, 취약계층에 10년간 8억4000만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서울아산병원장은 “직원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한 마음이 모여 도움이 절실한 이들에게
새
삶을 선사할 수 있었다. 주변에 소외된 이웃이 없는지 꼼꼼히 살피며 지역사회 저변에 나눔을 확대해나갈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아산병원을 운영하는 아산사회복지재단은 ‘우리 ... ...
넉달
새
최다 사망 76명...코로나 확진 7만1427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27일 오전 서울 용산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이 지속되는 가운데 2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만명대 초반이다. 하루 신규 확진자 규모는 정체된 모습을 보였지만 사 ... ...
하루
새
69명 사망...코로나 신규확진 8만7517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22일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에서 시민들이 스케이트를 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운영을 중단했던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이 3년 만에 문을 열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8일 0시 기준 8만7517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사이에 69명이 사망했다. 주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있어 널리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존 냉매 시스템을 벗어나 전혀
새
로운 방식의 냉각장치를 개발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특히 칼로릭 재료를 이용한 고체 냉각 시스템 연구가 활발하다. 칼로릭 재료(caloric material)란 외부에서 자기장이나 전기장, 압력 같은 장(field)의 ... ...
인간만 가진 유전자 155개 추가 발견...인간 고유 질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게 향후 연구의 과제”라고 밝혔다. 허 센터장은 “최근 마이크로 단백질의 역할들이
새
롭게 알려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마이크로 단백질의 역할을 한꺼풀 더 벗긴 흥미로운 연구이며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인간의 진화과정을 엿볼 수 있는 연구”라고 평가했다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