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 주식회사’에서 인류 멸망 바이러스 제조?
2014.08.24
2012년 출시한 게임 ‘플레이그 Inc(질병 주식회사)’가 바로 그것이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같은 병원체가 돼 지구에서 전 인류를 멸종시킨다는 설정은 섬뜩하지만 그것이 이 게임의 목표다. 난이도 설정을 보면 손씻기의 중요성을 새삼스레 깨달을 수 있다. 의사들이 일을 하면 병원체 전파가 ... ...
바이러스 감염 공포, 벗어날 방법은 이것 뿐!
2014.08.22
말했다. 연구단은 향후 바이오테러에 이용되는 탄저균이나 최근 문제가 되는 슈퍼
박테리아
(항생제 다제내성균)를 검출하는 데도 키트를 활용할 계획이다. 정 단장은 “약국에서 판매하는 임신 진단 키트 수준의 정확도를 가진 진단 키트를 만들면 충분히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인류 구할 ‘슈퍼히어로’는 누룩곰팡이
과학동아
l
2014.06.29
가지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 중 가장 악명이 높은 것은 NDM-1이다. 이 유전자가 있으면
박테리아
는 ‘인류 최후의 항생제’라고 불리는 카바페넴에도 죽지 않고 버틴다. 이런 카바페넴 저항균에 감염되면 사실상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연구자들에게는 NDM-1 유전자를 가진 내성균을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꼭 필요하단다. 구리(Cu)도 비슷하게 쓰인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다. 그리고 수년 전 비소
박테리아
논문이 나왔을 때 비소(As)도 극미량 필요하다는 구절을 읽었다(물론 인을 대신해 핵산 골격에 쓰이는 건 아니고). 셀레늄(Se)도 드물게 아미노산에서 황을 대신해 들어가는 일이 있다. 필자가 지금 짜낼 ... ...
진딧물과
박테리아
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된 것이다. 이
박테리아
는 진딧물뿐 아니라 여러 곤충의 몸속에 기생하고 있는데, 이
박테리아
가 만드는 부크네라 단백질 때문에 식물이 곤충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 역시 새롭게 밝혀졌다. 하지만 식물이 정확히 어떤 수용체나 메커니즘을 이용해 이 단백질을 인지하고 방어기작을 ... ...
KAIST 학부생이 세계적 저널에 논문 발표
과학동아
l
2014.05.29
다르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 이 방법을 이용하면 단 몇 초 안에
박테리아
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추가 연구를 진행하면 병원 등에서 세균 검사를 받을 때도 결과를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조 씨의 지도교수는 같은 과의 박용근 교수. 박 교수는 학부생들을 ... ...
인텔국제과학경진대회(ISEF) 2014 직접 가보니
과학동아
l
2014.05.23
음식물쓰레기로 나오는 커피 찌꺼기를 무상으로 얻어 활용했다. 제동일 군은 “
박테리아
는 증식만 시키면 그 수를 자유롭게 늘릴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을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학에 가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를 계속 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안류를 이용해 파력발전기를 ... ...
오동나무에서 조류독감 치료 물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0
추출한 천연색소 물질 ‘플라보노이드’가 조류독감 바이러스나 복막염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등이 자라는데 필수적인 ‘뉴라미니데이즈’ 단백질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천연색소 물질과 이 단백질이 결합한 복합체의 구조를 엑스선을 이용해 3차원적으로 밝혀냈다. ... ...
컴퓨터가 가져온 유전자 분석 혁명
과학동아
l
2014.05.07
20세기 말부터는 컴퓨터가 유전자 분석과정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자리매김했다.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졌고,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21세기 초 결실을 맺으면서 인간 DNA에 대한 이해의 폭까지 넓어졌다. 이처럼 유전자의 실체와 ... ...
미국 불가사리 떼죽음, 원인 몰라 답답
과학동아
l
2014.05.04
유전병이 퍼지고 있는 것인지 살핀 것이다. 그러나 이렇다할 결과가 없자 용의자를
박테리아
, 곰팡이(균류), 원생생물(protozoa), 기생충, 바이러스 등으로 넓혀 수색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답을 찾지 못한 상태다. 코넬대 환경학자 드류 하벨은 “우리는 답을 알 수가 없고, 지금은 매우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