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16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갑오징어도 사람처럼 '잘못된 기억' 불러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짝지어 보여줬다. 2분
뒤
에 내용물이 보이지 않게 새우 통과 빈 통을 보여줬다. 1시간
뒤
에는 새우 통을 빼고 마찬가지로 무늬만 보이게 한 빈 통과 게 통 중에서 하나를 고르게 했다. 새우가 없는 상황이라면 빈 통 대신에 게라도 있는 통을 고르는 것이 합리적이다. 하지만 실험 결과 갑오징어들은 ... ...
AI가 기록 판독하고 탄소배출 감시...파리올림픽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손에 장갑처럼 착용하는 장치인 쿨밋은 선수 몸에서 혈액을 식히고 신체에서 열을 빼낸
뒤
혈액이 심장과 근육으로 순환하도록 만든다. 쿨밋은 손바닥처럼 털이 없는 피부 표면을 통해 열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는 스탠퍼드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발됐다. 일본의 배구 및 육상 ... ...
전공의 복귀율 미미…"미복귀 전공의, 군 입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전해지지 않아 매우 안타깝다"며 "수련환경평가위를 통해 결원 규모를 최종 확인한
뒤
7월 22일부터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일정을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직한 전공의들은 9월 하반기 수련과정에 복귀한다면 특례를 적용받아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⑩ "다양한 유연근로제가 과학자 일과 가정 양립 도와"(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연구를 포기할까 생각했지만 그동안 공부한 것이 너무 아까웠어요. 출산하자마자 3주
뒤
에 복귀했습니다." 문 이사장은 "당시 과학계에도 육아는 여성이 해야한다는 생각이 강한 분위기 때문에 저뿐 아니라 많은 여성 과학자들이 출산 이후에도 육아 부담으로 연구를 멈추곤 했다"면서 "'여성 ... ...
[과기원NOW] 포스텍-SAIT, 반도체 폐수에서 텅스텐 회수 공정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명의 대학생이 참여했다. 해커톤 대회는 아이디어 도출, 문제 정의 등 이론교육을 수강한
뒤
분야별로 팀을 구성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김경중 한국문화기술연구소장은 "학교 간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 패러다임을 선보였다"며 "융합적 사고와 창의역량을 충분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넘는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교육부가 겉으로는 '사교육 카르텔'의 척결을 외치면서
뒤
로는 사교육 시장을 적극적으로 키워주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졸속으로 밀어붙인 의대 증원도 결과적으로 사교육 시장의 짭짤한 수익을 올려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AI 디지털 교과서가 강조하는 ... ...
독수리 사라지니 50만명 사망, 무슨 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예정이다. 연구팀은 1990년대 인도 전역에서 독수리 등 조류가 거의 멸종 상태에 이른
뒤
50만명 이상의 인구가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발생한 금전적 피해는 연간 700억 달러(약 97조원) 수준이었다. 연구팀은 독수리 서식지 지도와 인도 행정구역 지도를 겹쳐 600개 이상 지역의 ... ...
사직처리 마감일 출근 전공의 8.4%…병원 이탈 전문의 1451명으로 8.4%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장관 직속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정부는 사직 처리를 마무리한
뒤
이달 22일부터 시작되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일정을 차질 없이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해 세부적인 의료개혁 방안을 계속해서 논의할 계획이다. 하지만 의료현장으로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쥐 심장 신호를 측정한 실험에서는 한번 사용한 전극을 초음파 세척기로 세정한
뒤
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재사용까지 할 수 있었다. 고승환 교수는 "뉴럴링크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인체 삽입형 생체 전극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928- ... ...
[잠깐과학] 1937년 7월 5일…스팸 출시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13
길고 열량이 높은 단백질 식품인 스팸은 1950년 6·25전쟁 때 우리나라에 들어온
뒤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7월 1일, 이달의 과학사 1937년 7월 5일 스팸 출시되다!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