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행성감기
인플루엔자
유행성 감기
감기
고뿔
뉴스
"
독감
"(으)로 총 85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이 먹을수록
독감
백신 안 듣는 이유는 ‘B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돌연변이가 적은 헤마글루티닌의 줄기 부분에 대한 백신을 개발 중이다. 고령화일수록
독감
백신이 안 듣는 이유를 설명한 일러스트.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돌연변이가 자주 발생하는 것에 비해, 고령일수록 B세포가 다양한 항체를 생산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Henry et al. / Cell Host & Microbe 제공 ... ...
사람과 접촉 많은 설연휴 인플루엔자 조심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2.02
늘어난다. 이 기간에 가장 기승을 부리는 호흡기 질병이 바로 인플루엔자(
독감
)다. 질병관리본부의 2014~2015년간 표본감시 자료에 의하면 인플루엔자는 12월 말경에 유행하기 시작해 2월 중순경에 최고조에 이르렀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설을 앞두고 “인플루엔자는 매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나온 지도 50년이 넘었지만 2011년에야 정확한 발병 및 전파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홍역은
독감
처럼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지만, 실제 인체에서는 주로 면역세포가 감염된다. 홍역바이러스는 몇몇 면역세포 표면에 있는 CD150이라는 단백질을 인식해 세포 안으로 침투해 증식한다. 홍역바이러스의 ... ...
'백신접종은 反자연주의' 그릇된 신념이 홍역이라는 유령을 되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수 있는 DNA바이러스와 예측 불허의 RNA바이러스로 나뉜다. 신종 플루 바이러스 같은
독감
바이러스는 물론 홍역도 돌연변이를 예측하기 힘든 RNA바이러스다. 이런 RNA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보다 불안정하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이 1000배 이상 높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타미플루와 인류
2018.12.30
역사적 기록은 1580년부터 시작하며 이후 끊임없이 지속되었습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독감
에 걸려 죽었는지 헤아릴 수도 없습니다. 언젠가 반드시 정복해야 할 질병입니다. 신석기 혁명 이후 인류는 끊이지 않는 역병에 시달려왔습니다. 위생의 개선, 백신과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등의 개발을 ... ...
"달 착륙은 거짓, 지구는 평평하다" 음모론에 빠진 스포츠 선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했다. 약 300만명의 트위터 팔로어를 가진 미국의 전 미식축구 선수 레기 부시는
독감
치료제에 대한 음모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지구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다. 사람들 대부분이 이러한 음모론을 최소한 하나 이상은 접해봤을 것이다.-나무위키 제공 제임스 데이비스 미국 베네딕틴대 ... ...
해외에서도 타미플루 환각 부작용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타미플루 복용을 함부로 중단해서는 안된다고 설명했다. 윤지상 식약처 주무관은 “
독감
치료가 완전해지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야 한다”며 “타미플루 표준치료요법에 따라 일반 치료는 5일간 복용, 예방 치료는 10일간 복용을 허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매개체로 이미지를 구긴 낙타가 인류를
독감
에서 구해낼지 지켜볼 일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억만장자 빌 게이츠와 리처드 브랜슨은 왜 인공고기 사업에 투자했나
과학동아
l
2018.11.24
경우 과도하게 밀집된 환경에서 사육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구제역이나 조류
독감
등이 발생한다”며 “축산 환경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근본적으로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가축 없이 고기 만드는 조직 배양 기술 ‘인공고기’는 그 대안 중 하나다. ... ...
인간이 생존하기 가장 어려웠던 해는 536년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인구의 절반을 휩쓴 흑사병이 나타났던 1349년과 2500만~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
독감
이 시작된 1918년이 강력한 후보로 꼽혀왔다. 하지만 학자들이 내놓은 답은 이보다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근 재앙적인 수준의 화산폭발이 있었던 536년이 인류의 생존을 가장 위협받은 시기라는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