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더기
d라이브러리
"
한 단
"(으)로 총 3,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바탕으로 게임을 설계했습니다. 이는 감염자
한
명이 새로 감염시킬 수 있는 사람 수입니다. 값이 ... 실제로 천연두는 지구에서 사라진
단
2개의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예방백신은 물론 ... 없는 수학자가 있습니다. 수 많은 수학자를 배출
한
집안 베르누이가의 다니엘 베르누이예요. 물의 움직임을 ... ...
Part 1. [드라큘라의 저주 1] 우리 가족, 괴물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어둠의 왕자 드라큘라는 늘 외로웠어요. 스마트폰으로 걸려오는 전화가
단
한
통도 없었거든요. 그러던 어느 날, 스마트폰에서 진동이 울렸어요. 조심스럽게 전화를 받아 보니 여자 목소리가 들려왔답니다. 전화 상대는 바로 맥스의 엄마인 엠마 위시본이었어요. 엠마는 가족들과 핼러윈 파티에 쓸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참가
한
대원들에게 매미 12종을 찾기 위해
한
해 동안 전국을 누볐던 이야기를 들려 줬어요 ... 지사탐 대원이 있다면 얼마든지 환영이에요.
단
,
한
여름에 산을 타고 풀숲을 헤치며 다니는 것은 무척 힘들기 때문에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에요. 하지만 함께하지 못
한
다고 아쉬워하지 말아요. . ...
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
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모래만 골라내는 과정이 꼭 필요해요. 모래만큼
단단
하고, 충분
한
양을 얻을 수 있는 물질을 모래대신 쓰는 것도 연구되고 있어요. ‘슬래그’도 그중 하나지요. 슬래그는 금속이 섞여 있는 광석에서 순수
한
금속만 뽑아내고 남은 찌꺼기를 말해요.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평균 2000만 톤 정도의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JAMSTEC)의 연구팀은 카메라를 장착
한
무인 관측 장치로 심해어를 촬영하는데 성공했답니다. 미끼로 고등어를
단
관측 장치를 8178m까지 내려보내 17시간을 기다린 끝에 심해어
한
마리를 촬영할 수 있었지요. 이 심해어는 ‘심해꼼치’로 불리는 물고기예요. 몸길이 20cm 정도에 전체적으로 희고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종이지요. 먹이나 이동 경로, 수명 등 생태에 관
한
정보가 거의 없어 ‘신비의 새’라고도 불린답니다. 지난해 4월 뿔제비갈매기 5마리가 우리나라 전라남도의
한
무인도를 찾아왔어요. 그중 1쌍이 번식에 ... 번식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에
단
5곳뿐이에요. 뿔제비갈매기가 지구상에서 ... ...
한
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
단
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만약 인류에게
단
한
문장의 과학 지식만 전할 수 있다면 무엇을 전하겠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어요.원자의 개념을 처음 제안
한
사람은 1766년 9월 6일에 태어난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훨씬 크다는 이유로 암컷이라고 판
단
했거든요.이처럼 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을 발견했을 때 몸집이 거대
한
골격일 경우 암컷으로 추정하곤 ... 수컷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단
한
가지예요. 공룡 뼈 화석이 알둥지와 함께 발굴되어 발견된다면, 그 공룡은 알을 낳은 암컷 공룡이 확실할 테니까요.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신경세포들은 시각 정보에서 매우
단
순
한
요소만 인지
한
다. 이를테면 눈과 ... 옮겨진다. 이렇게 시각정보들이
한
단
계씩 이동할 때마다 점점 복잡
한
정보의 조합을 감지하는 세포들이 관여하고 뇌는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 현재로써는 각
단
계에서 시각정보가 어떤 형태로 처리되는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나누면서 상호작용하려고
한
다는 간
단한
이론을 소개했어요. 이 이론을 ... 현상도 설명할 수 있지요. 이렇게 간
단한
가정만으로 흥미로운 현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많이 가졌어요. 수학은 무척 어려운데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글쎄요. 제가 수학을 엄청나게 잘했던 건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