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로 시민들의 힘을 모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수 있어요. 이때 숨 포인트가 함께 적립되도록 하겠다는 거예요. 숨을크게쉬어봐요
팀
의 이원찬 씨는 “시민들이 쉽게 참여해 세상을 바꾸는 데 힘을 보태도록 유도하고 싶었다”고 말했답니다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심각해진 거예요. 2017년, 독일 헬름홀츠협회 지질학연구소(GFZ) 크리스토퍼 키바 연구원
팀
은 2011년부터 지구 주변을 돌기 시작한 미국 해양대기청의 위성 자료를 분석해, LED 조명이 도시에 쓰이면서 도시가 얼마나 밝아졌는지 연구했어요. 그 결과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도시가 매년 2.2%씩 밝아진 ... ...
미세먼지와의 밤샘결투 벌어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선풍기까지 각양각색의 작품을 내놓았지요. 서울시는 심사를 통해 선정된 상위 4개
팀
의 기술을 검토해 현실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내년에 적용할 예정이에요. 서울기술연구원의 김경원 미세먼지연구실 실장은 “예상보다 좋은 아이디어가 나와 협업이 가능할 것 같다”고 평가했답니다 ... ...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전세계에서 멀쩡한 음식의 1/3이 버려진다는 것을 몰랐어요.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할
팀
을 만들기로 결심했죠. 그러던 중 다행히도 비슷한 고민을 갖고 있던 공동 창업자 무함마드 파라스를 만났어요. 이 친구는 대학생 때 자신이 산 피자가 많이 남자, 기숙사 친구들에게 1조각 당 1000원에 팔았대요. ... ...
[과학뉴스] 개의 눈이 선한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발달하도록 진화해 동글동글한 눈 모양을 만들 수 있는 것을 확인했지요. 연구
팀
은 “사람이 개를 가축화하는 과정에서 선한 눈의 개를 선택함으로써 개의 진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고 밝혔답니다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어떤 의미를 갖니?인간의 뇌엔 860억 개의 뉴런이 있지만, 꿀벌은 100만 개도 채 안 돼. 연구
팀
은 이렇게 인간보다 훨씬 작은 뇌를 가진 곤충이 수와 기호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어. 지금까진 영장류나 새들만 이 관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거든. 연구를 이끈 애드리언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
팀
이 뜬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등 거의 사람과 유사한 수준으로 이미지에 담긴 감정을 읽어낸다”고 말했다. 윤 교수
팀
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박성우 연구원은 사람의 머리 모양과 크기, 색상 등의 이미지를 판별하는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다. 곽찬웅 석사과정 연구원은 얼굴에 있는 특징점 68개를 중심으로 개별 얼굴을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김 교수는 “청소년들이 AI 기술을 친숙하게 느끼게 하고 싶었다”면서 “KAIST가 출전
팀
에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의 수준을 청소년 교재에서도 충분히 다룰 수 있을 만큼 쉽게 설계했다”고 말했다. 내년에 개최될 제3회 AI 월드컵은 올해보다 기술적으로 한 단계 더 까다롭게 설계될 가능성이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성능이 좋다는 걸 밝히면 후양자 암호로 채택될 수 있다고 하니 어쩌면 국내 연구
팀
이 만든 암호가 선정될 수도 있어. 양자컴퓨터가 개발되기 전에 미리 새로운 암호 체계를 컴퓨터에 넣어둬야겠지 ... ...
[과학뉴스] 아니, 너는 30년 전 멸종한 쥐사슴?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올가미를 제거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앤드류 틸커 GWC 동아시아지역
팀
장은 “보전학자들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노력해야 쥐사슴이 또 다시 멸종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와 진화’ 11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