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론자
공유자
해답자
출석자
관계자
협력자
패거리
d라이브러리
"
참가자
"(으)로 총 843건 검색되었습니다.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긍정적 뜻을 가진 단어와 부정적 뜻을 가진 단어를 가려내게 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참가자
들은 매력적인 얼굴을 본 뒤 긍정적인 단어를 인식하는 속도가 빨랐다.올슨 교수는 무의식적으로 제시됐던 매력적인 얼굴이 긍정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뇌영역을 미리 준비상태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 ...
[심리학]보수적인 사람이 더 깜짝 놀란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증가한다. 또 눈 아래 근육에 움직이는 센서를 붙이고 갑자기 큰 소리를 내 실험
참가자
를 놀라게 한 뒤 눈을 깜빡이는 근육의 강도 변화를 측정했다.실험 결과 보수 성향의 사람은 피 흘리는 사람의 사진을 봤을 때 피부의 전기전도도가 진보 성향의 사람보다 4배나 크게 변했다. 게다가 보수 성향의 ... ...
[심리학] 차가운 시선에 몸 언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실내 온도가 3℃ 가량 낮다고 느꼈다.또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에게 상대와 공을 주고받는 컴퓨터게임을 즐기도록 한 뒤 차가운 음식과 뜨거운 음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했다.그 결과 게임에서 ‘왕따’를 당한 그룹은 뜨거운 음식을 선택한 반면, 공을 많이 받은 ... ...
인문학 소양 뛰어난 과학인재 양성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혈액형 알기, 담력테스트 같은 다양한 체험활동과 동물 해부를 직접 선보여
참가자
들의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총 92명을 뽑는 올해 대구과학고 전형의 가장 큰 특징은 중학교 3학년 2학기 내신성적을 반영한다는 점이다. 또 영재교육원 수료자에 대한 특별전형 인원을 6명 줄였고 가산점도 낮췄다. ... ...
[신경과학]듣지 못해도 말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모두에게서 실험장치가 밀어내는 방향과 반대로 턱을 당기는 반응이 나타났다. 그러나
참가자
들은 자신이 턱을 당기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의식하지 못했다. 이는 턱이나 발성기관에 있는 신경 체계가 발음을 부정확하게 만드는 움직임을 감지해 스스로 교정한다는 뜻이다.맥길대 언어치료학과 ... ...
정서 보듬는 음악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좋아졌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실어 유명세를 탔다.로셔 교수는 실험
참가자
를 세 그룹으로 나눠 실험했는데, 9분 동안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은 그룹의 IQ가 아예 음악을 듣지 않거나 다른 음악을 들은 집단에 비해 8~9점 높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아기나 임신 중인 엄마가 모차르트 음악을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뉴로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캐나다 맥길대 신경심리학과 로버트 자토레 교수팀은 실험
참가자
들에게 협화음으로 이뤄진 유쾌한 음악과 불협화음으로 구성된 불쾌한 음악을 들려준 뒤 양전자단층촬영(PET)으로 뇌혈류량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정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변연계의 복측 ... ...
예비 과학자의 꿈이 영그는 곳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탄탄한 과학 실력을 갖춘
참가자
들은 3박4일간의 과학활동 속에서 끈끈한 우정을 쌓았다.
참가자
들은 캠프기간 동안 미국 3M 본사에서 파견 나온 과학마법사와 함께 태양열조리기를 만들고, ‘디워’나 ‘미래소년 코난’ 같은 영화를 보며 그 속에 숨은 물리법칙을 찾았다. 이뿐 아니라 레고 로봇을 ... ...
무관심 속에 파고든 A형간염 주의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사실이 뒤늦게 확인된 것. 이들은 곧바로 감염 여부를 통보받았다.A형간염은 파티에
참가자
한 명이 감염돼도 바이러스 전파를 걱정해야 할 만큼 전염성이 높다. 김 교수는“바이러스에 오염된 식수나 음식에서 체내로 들어온 바이러스가 간에서 증식한다”며“이 바이러스는 대변으로 체외로 ... ...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남녀 고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매미소리의 크기에 따른 심리변화를 검사했다. 실험
참가자
들은 매미소리가 63~67dB(데시벨, 소리의 크기 나타내는 단위)로 커지자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했다.일반적으로 소음은 3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소리의 크기가 클수록 소음이 된다.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