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능"(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돼 살아갈 시대는 지금과 아주 다른 모습일 겁니다.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인공지능이 일반화된 사회일 거고, 단순 노동은 다 사라졌을 거예요. 지금 교육과정이 과거 사회를 살아가기에 적합하게 짜였다면 이제는 미래 사회에 기반이 되는 수학교육으로 바뀌어야 해요. 당연히 기초 ... ...
-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영국 과학공학 연구위원회의 지원으로 에너지를 스스로 생산하는 미래 주거도시와 인공지능으로 미생물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연구도 하고 있습니다. Q 이 연구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우리는 천연 자원을 소비해 쓰레기를 만들어 내고, 이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또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100% 절대 복제 불가능한 생체인식 기술은 없을까. 안창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화융합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손바닥만 갖다 대면 개인을 구별할 수 있고, 복제도 절대 안 되는 생체인식 기술을 개발해 2019년 10월 국제학술지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트랜잭션스 온 사이버네틱스’에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제안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19년 8월 확정 발표한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돌봄, 웨어러블, 의료, 물류 등 4개 분야의 서비스 로봇을 개발해 2023년까지 15개 지자체, 810개 수요처에 1만 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물론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더욱 정교하게 학습시키기를 반복합니다. 그래비티 스파이 운영진은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으로 라이고의 관측 데이터를 최대한 깨끗하게 만들면 중력파의 비밀을 밝히는 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에디터노트] 국회에 과학이 필요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그는 2월 19일 시카고 트리뷴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물리학을 전공한 과학자로서 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 등 오늘날 미국이 당면한 기술적, 경제적 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하는 데 적임자”라고 말했다. 미국의 비영리 정치 단체인 ‘314 액션(Action)’은 과학자들의 의회 진출을 지원한다. 화학자 ... ...
- [수학뉴스] 꿀벌의 수학적 인지능력, 수학 모형으로 원리를 밝히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형태로 재현하는 단순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나우로트 교수는 “이 모형을 인공지능의 학습 알고리듬에 적용하면 전보다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 ‘iScience’ 2월 21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 [수학뉴스] 전국 곳곳에 부는 AI 교육 바람수학동아 l2020년 04호
- 021년부터 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AI) 수업을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2020년도 AI 융합 교육과정 운영고’ 34곳을 선정해 3월 9일 발표했습니다. 15개 지역에서 1~5개 학교를 선정했으며, 서울과 경기는 5개교씩, 충남·전남·경북에서 각각 3개교가 뽑혔습니다.2020년은 AI 교육과정을 준비하는 ... ...
- [핵배송 비결1] 고객데이터로 주문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생활용품부터 도서, 화장품, 신선 식품,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온라인으로 1억 개가 넘는 물건을 판매하는 산타마켓은 3단계를 거쳐 고객에게 물건을 배송합니다. 첫 번째는 공장이나 농가 같은 원산지로부터 물건을 사들인 뒤 물류센터에 보관하는 단계, 두 번째는 주문이 들어온 물건을 모아 포 ... ...
- “인공지능은 이미 여러분 옆에 와 있습니다” 김정호 KAIST ICT 석좌교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석좌교수’ ‘KAIST-삼성전자 산학협력센터장’ ‘KAIST-한화시스템 국방 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 센터장’ 등 직함이 여럿 찍혀 있었다. 그중에서도 김 교수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타이틀은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석학회원(IEEE Fellow)이다. 국제전기전자공학회는 전기, 전자, 반도체, 통신, 컴퓨터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