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측근
좌우익
d라이브러리
"
좌우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점, 함수와 함미 밑바닥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꺾인 점도 근거라고 밝혔다. 배가
좌우
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선체 밑바닥의 함 안정기와 배 밑바닥에 압력을 받은 흔적이 나타났고 절단면의 전선에서 열 흔적이 발견되지 않은 것도 버블효과의 증거라고 제시했다. 내부에서 폭발이 일어났다면 ... ...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이 미로 중앙에는 여러 글자가 새겨져 있어요. 한 가운데 ‘S’자를 시작으로 위아래
좌우
모두에서 ‘SANCTA’를 찾을 수 있어요. 또 ‘E’를 시작으로 아래로 7글자를 보면‘ECLESIA’을 찾을 수 있지요. ‘SANCTA ECLESIA’는 ‘신성한 교회’라는 뜻이에요. 이 단어가 몇 개나 있는지 한번 세어 보세요. 그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물체의 모습은 원래 물체와
좌우
대칭이 아니라 거울면에 대해 대칭인 겁니다. 그래서
좌우
가 바뀌었다는 표현보다는 앞뒤가 바뀌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하답니다.가만히 있으려면 달려라“글쎄요, 우리나라에서는 그렇게 오랫동안 빨리 달리면 대개 어딘가에 닿게 되거든요.”여왕이 말했다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영국의 그리니치천문대의 자오선을 0도로 하는 ‘경도’를 마련했다. 경도는 지구상의
좌우
위치를 360°로 회전하며 표시한 것으로 0°의 오른쪽을 동경, 왼쪽을 서경이라 부른다. 우리나라의 가운데 지점은 동경 127.5도를 지난다. 똑똑한 각도 360° 어버이날을 맞아 손수 만든 카네이션과 함께 굳은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2번째 시간에는 위아래
좌우
가 모두 평행인 선분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에 대해 공부할 거예요. 2차원 정사각형, 3차원 정육면체, 4차원 입방체까지 각진 친구들의 이모저모를 실험을 통해서 알아봐요. 실험에 앞서 아르키매스 박사님이 정육면체와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주신대요. 귀를 쫑긋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다.다만 우리 뇌는 얼굴 중에서도 눈에서 정보를 많이 얻기 때문에 눈의 모양이 인상을
좌우
하기도 한다. 눈의 가로를 100이라고 했을 때 한국인 눈의 세로 길이는 최대 36이다. 이 숫자가 크면 클수록 눈이 동그랗고 귀여운 느낌을 준다. 한국인 평균은 26.5인데, 이보다 작은 긴 눈은 어른스러운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서게 돼 화면의 균형감을 이룬다. 또한 3개 팀이 다시 삼각형 형태로 서면 자연스레
좌우
대칭을 이루며 V자 또는 V자 안에 한 명이 서는 변형 V자로 바꾸기도 쉽다. 각 멤버별로 부르는 파트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위치를 빨리 바꿀 수 있는 동선이 필수인 셈이다.7명으로 이뤄진 아이돌 그룹에는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조혈세포, 생식세포, 체세포처럼 세포는 종류도 다양하고 크기도 다르지만 몸집을
좌우
하는 결정적 요인은 세포의 수다. 쥐와 코끼리가 세포 종류에서 차이가 없지만 몸집이 다른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몸의 크기는 또 성장호르몬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달라진다. 성장호르몬이 세포의 분열을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깜빡임과 같이 자기도 모르게 하는 행동이나 어떤 특정한 경험에 따라 행동과 감정이
좌우
되는 조건 반사 등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연구는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하지만 인간의 몸을 기계와 같이 보고 원리를 파악하려고 한 노력은 생리학이 발달하는 데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잎사귀대벌레는 행동마저 영락없는 ‘나뭇잎’이다. 산들바람에 잎이 나부끼듯이 몸을
좌우
로 가볍게 흔들면서 기어간다. 변장에서 연기까지 나뭇잎을 귀신처럼 완벽하게 따라 한다.하지만 뛰어난 위장술로 세상을 감쪽같이 속이는 일도 낮 동안뿐이다. 낮에 활동하는 동물들은 대개 시력에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