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d라이브러리
"
유전공학
"(으)로 총 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미국의 과학자들이 물리적으로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나노 장치를 잇따라 개발해내 화제가 되고 있다. 이제까지는 주로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것과 같이 생화학적인 방법으로 존재 유무를 판단해왔다. 이에 비해 새로 개발된 검출 장치는 바이러스 개체 하나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4월의 캠퍼스는 의외로 한산했다. 봄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캠퍼스 한 가운데 다른 건물보다 키 하나 더 큰 새 건물이 보인다. 검은 초석은 건물 설립에 공헌한 기증자의 이름이 새겨 있다. 정문술 빌딩. 지난해 10월 처음 문을 연 이 건물은 신생 바이오시스템학과가 쓰고 있다. KAIST에 들어선 수많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단백질의 유전자다.질병과 유전자의 상호관계“모든 질병은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유전공학
의 공동창시자인 폴 버그의 말이다. 20세기 의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대부분의 전염병이 퇴치되면서 이 말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암을 비롯해 유전자가 직·간접적으로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월 27일 음속의 7배를 돌파한 X-43은 수소연료만을 이용했다.연소에 필요한 산소는 대기에서 공급받기 때문. 산소를 싣고 갈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비행기보다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대수학에서 사용하는 이론의 하나 갈루아는 대수방정식의 근(根) 사이의 치환군(置換群)과 수체(數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국제우주정거장 관리업무를 교대할 우주인들이 4월 19일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떠났다. 이들이 탄 우주선은 노후된 소유즈 TM 우주선을 우주인의 인체 특성에 맞춰 개량한 소유즈 TMA. A는 인체계량학(anthropometry)의 첫자를 딴 것이다.세균을 세는 단위로 1ml당 세포 또는 균주가 얼마나 있는지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영화 ‘슈퍼맨’의 주인공 크리스토퍼 리브는 날기는커녕 이제 걷지도 못하고 있다. 말에서 떨어지면서 척추를 다쳐 꼼짝없이 휠체어에 갇혀 지내게 된 것. 그러나 슈퍼맨은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 줄기세포로 손상된 척추 신경세포를 재생한다는 것이 그의 꿈이다.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난자를 채취할 때 여성은 그의 난소가 가늘고 긴 바늘에 찔리는 고통을 겪어야 한다. 그로 인한 부작용은 절대 무시될 수 없다.”전문의로 한마음한몸운동본부의 부장인 김명희씨는 지난 2월 26일자 ‘주간동아’ 에 기고한 글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호르몬을 과다하게 투여해 유도하는 과배란 ... ...
조류독감 익혀 먹으면 안전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바람직하다.조류독감 백신개발은 8개로 조각나 있는 유전자의 특징을 응용한다. 먼저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독성이 없는 바이러스를 제조한다. 이 바이러스와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동일한 세포에 감염시켜서 배양하면 2개의 바이러스 사이에 유전자의 재조합이 일어난 새로운 바이러스를 얻을 수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크게 A와 B, C 세종류로 나눌 수 있다.인플루엔자 B와 C는 인간에게서 발견된다. 반면 인플루엔자 A는 유전자 변이에 의해 종 사이의 장벽을 넘을 수 있어 더 심각하고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킨다.지구형행성, 위성, 기타 암석질 천체의 표면에 운석충돌에 의해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동일한 생물체의 집단을 클론이라고 한다 옛날부터 원예에서 많이 이용돼 왔다
유전공학
의 발전으로 동일한 동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됐고 실제로 개구리복제가 성공한 적이 있다고릴라는 등에 회식털이 나 있는(silverback이라고 함) 대장 수컷을 중심으로 40여마리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