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온클 꿀팁 대 방출! 지사탐으로 슬기로운 여름방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교수님과 엄재윤 시민 연구원이 응답했습니다. Q탐사 사진을 몇 장 올려야 할까요? 우리나라생물사랑팀 정하준 대원장 기본적으로 가이드북에 써 있는 기준대로 찍으면 돼요. 생물종별로 필요한 정보가 다르거든요. 여기에 색과 무늬가 좀 특이한 종을 발견하거나, 발견한 탐사종의 주변 환경 ... ...
- [특집] 물폭탄의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열을 옮기는 속도가 느려져요. 그러면 적도의 열과 바다의 수분이 중위도에만 쌓여 우리나라처럼 중위도에 폭염과 폭우가 집중될 거예요. Q재난을 막을 방법이 있을까요?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지구 기온에 적응한 생물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사라질 거예요. 이런 재난은 지구의 잘못이 아닙니다.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제주도에는 용암동굴이 많지요. 만장굴, 협재-쌍룡굴 등이 잘 알려졌지요.그러면 우리나라에는 총 몇 개의 동굴이 있을까요? 놀라지 마세요.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 전국에 무려 1500개 이상의 동굴이 있답니다. 저는 그중 절반 정도인 700여 개를 탐사했어요. 석회동굴에서 발견된 다양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구독자 : 9.73만 명)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 ‘찬밥 더운밥 가릴 때가 아니다’. 우리나라에는 밥과 관련된 표현이 참 많아요. 아주 오래전부터 한국인은 쌀밥을 주식으로 먹고 있기 때문이지요.그런데 조선 시대나 그 이전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밥그릇의 크기는 지금보다 거의 3배나 커요!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달 30일엔 박쥐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사업 등으로 박쥐가 살아갈 장소는 점점 사라지고 있거든요. 박쥐 서식지를 발견하면 우리나라 박쥐 보전에 기여할 수 있어요. 우리 눈엔 잘 보이지 않지만 생태계의 일원으로 활약하는 박쥐를 한 번 더 생각하는 지사탐 대원으로 성장하길 기대합니다 ... ...
- [특집] 발굴조사현장, 직접 찾아갔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연구를 할 수 있을 거예요. 여기에 최소 10년 이상이 걸릴 거예요. 이번 발견으로 우리나라 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의 연구 거리가 풍성하게 생겨난 셈이죠. ●사대문 : 조선 시대, 서울에 있던 네 개 대문. 흥인지문(동대문), 돈의문(서대문), 숭례문(남대문), 숙정문(북대문)을 뜻한다 ... ...
- [할 말 있어요!] 사육곰 두 마리가 농장에서 탈출했다? 어린 사육곰이 세상을 떠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사육곰들도 반달가슴곰이지만 아종이 달라 우리나라 법상 보호 대상이 아니에요.게다가 우리나라 야생생물법에서는 ‘우수리종’이 아닌 모든 반달가슴곰을 기르고 죽여서 쓸개를 이용하는 것을 합법이라고 규정하고 있어요.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법에 야생동물을 잡아먹어도 된다는 조항을 둔 ... ...
- [화보] 팔도강산에서 만나요! 팔딱팔딱~, 우리 민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
- 크리스마스트리가 위험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꽃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 열매가 열리지 못한 거예요.소나무와 닮은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다가 1900년대에 유럽으로 전해졌어요. 키가 크고 잎이 풍성해 서양에서 크리스마스트리로 널리 쓰이고 있어요. ●그래프 읽어줌이채린 기자 │지난해와 올해 열매를 맺은 한라산 구상나무의 ... ...
- [특집] 행복한 동물원 첫발 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활동이 끝났어. 총 446팀 중 72팀이 66개 동물원을 조사해 59개 동물원이 분석됐지. 덕분에 우리나라 동물원이 어떤 상태인지 엿보고, 노력하는 동물원들을 찾을 수 있었어. 우동수비대원들이 조사해준 탐사기록을 보고 마승애, 최태규 공동대장이 분석한 결과를 공개할게! ▼이어지는 기사를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