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와 ‘메가트러스 공법’에 있답니다.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란 오른쪽 그림처럼, 건물 외벽 마감 공사를 하기 전 철골을 이용해서 3차원으로 만든 내부 골격 구조를 말합니다. DDP의 내부 골격 구조를 메가트러스 공법으로 만들었어요. 트러스 공법이란 삼각형 모양이 되도록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1860년대 프랑스 외과의사인 폴 브로카는 뇌전증*에 걸린 환자를 만났어요. 이 환자는 오른쪽 몸 전체가 마비됐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말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나 지능은 보통 사람과 같았답니다. 브로카는 이 환자가 세상을 떠난 뒤에 뇌를 해부했는데, 왼쪽 뇌의 이마엽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다른 스타일의 작은 인형을 몇 종류나 만들 수 있을까?얼굴 모양 브릭 1개를 기준으로 오른쪽과 같이 수형도로 경우의 수를 나타내보면, 1개 당 6가지 스타일의 인형을 만들 수 있다. 얼굴 모양 브릭이 모두 4개이므로, 전체 경우의 수는 4×6=24가지다.이처럼 ‘조합’이란 여러 개 가운데서 순서에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동 교수팀은 매미 날갯짓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우선 매미를 3차원으로 분석했다. 오른쪽 날개가 붙어 있는 곳을 원점으로 머리에서 가슴과 배가 이어지는 일직선에서 머리를 향하는 x축, 양 날개를 뻗었을 때 왼쪽 날개를 향한 y축, 그리고 하늘을 향하는 z축으로 정했다. 그리고 날개를 위아래로 ... ...
- ‘키스하는 수병과 간호사’ 오후 5시 51분에 찍혔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940년대 미국 뉴욕주 맨해튼을 촬영한 사진 수백 장과 당시의 지도를 분석한 결과, 연인의 오른쪽 뒤에 보이는 알파벳 ‘BOND’에 그림자를 만든 것이 주변에 있는 ‘애스터 호텔’이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는 당시 지형을 재현한 모형을 만들고 여기에 빛을 비춰 시간에 따른 그림자의 변화를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다른 하나는 선수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광학 카메라 기술인 ‘트래캡’이다.일단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해서 스탯캐스트가 어떻게 운용되는지부터 보자. 미국 메이저리그 중계방송의 일부다. ‘게임인가?’ 싶을 정도로 역동적인 영상을 볼 수 있다.미사일 대신 야구공을 추적한다, 트랙맨도대체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나오게 뒤집는 것이다. 이때, 반드시 바로 오른쪽에 있는 카드도 함께 뒤집어야 한다. 오른쪽에 있는 카드가 뒷면이면 앞면으로, 앞면이면 뒷면으로 뒤집는 것이다. 이 게임을 계속한다고 할 때 어떤 카드를 고르든 게임이 결국은 끝이 난다는 것을 증명하라.”훈련을 담당하는 리차드 선생은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관찰해 보았어요. 놀랍게도 어떤 파인애플은 왼쪽 나선 방향으로, 또 어떤 파인애플은 오른쪽 나선 방향으로 홈이 파여 있었지요. 깎는 사람이 오른손잡인지 왼손잡이인지와 상관없이 파인애플 나선의 방향에 따라 홈의 방향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랍니다. 두 나선의 총 길이 중 어느 쪽이 더 짧은지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하지만 이 때문에 한반도를 강타하는 태풍의 개수는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발생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치면서 우리나라보다는 일본으로 진로를 틀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대부분 필리핀 서쪽 해상에서 발달해 중국 연안에 도달한 뒤 방향을 틀어 한반도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이뤘다. 논리실증주의의 입장에서 어떤 식이 과학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식의 왼쪽과 오른쪽이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양이어야 했다. 뉴턴의 운동법칙처럼 말이다. 그런데 볼츠만의 엔트로피식은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엔트로피는 들어오고 나가는 열의 양과 온도를 이용해 계산할 수 있다.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