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실"(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리가 들이마시는 공기의 성분은 질소 78%, 산소 21%, 이산화탄소 0.03%에 나머지는 수증기와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졌어요. 이에 비해 공기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날숨은 질소78%, 산소 16%, 이산화탄소 4%에 나머지는 수증기와 기타 성분으로 이루어졌지요.이처럼 날숨은 우리가 들이마신 기체에 비해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었다. 내가 다른 곳에 있었더라면 결코 할 수 없었을 연구다.시체농장은 연구자를 위한 실험실일 뿐 아니라 경찰이나 범죄 수사 요원들에게 중요한 훈련장이다. 매년 미연방수사국(FBI)이나 테네시수사국(TBI), 국립법과학협회(NFA) 등 각종 수사 기관은 수사 요원들을 시체농장에 파견해 암매장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라이고에서는 중력파에 의한 시공간의 변화가 되겠고 저희 실험실 기기에서는 웨이퍼의 결함이겠죠.방준휘 응용 범위가 굉장히 넓겠네요. 산업에서는 어디에 주로 쓰이나요?정윤찬 광통신이나 의료, 국방, 정밀가공 등의 분야에 많이 사용됩니다. 저는 그 중 국방이나 ... ...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런데 잠시 쉬러 들른 휴게실 소파에서 깜빡 잠들어 버렸다.깜짝 놀란 상호는 부랴부랴 실험실로 향했다. 도착해서 시계를 보니 실험 시작 5분 전이었다. A용액과 B용액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데, 두 용액은 1L 용기 6개에 뒤죽박죽 섞여 있었다. 두 용액은 눈으로 구별하기 어렵다. 게다가 이용할 수 ... ...
- [과학뉴스] 광자 셋의 칼군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비엔나대 연구진이 실험실에서 광자 3개를 얽힘 상태(entangled state)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궤도각운동량, 즉 뒤틀림 방향에서 고차원적으로 얽힌 광자 두 쌍을 조합해 3차원에서 얽혀있는 세 광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비엔나대 물리학부의 미헐 말리크 박사는 과학뉴스포털 ‘피조그 ... ...
- 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엔지니어링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Part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엔지니어링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Part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 ...
- [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나눌 수 있다. 태양이나 오로라같이 지구 대기권 밖에 있는 우주 플라스마, 공장이나 실험실에서 주로 쓰는 산업 플라스마(저온·열플라스마),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는 초고온 플라스마. 이것들이 존재하는 영역은 온도가 1K에서 1010K까지, 밀도는 1개/cm3에서 1030개/cm3까지 범위가 아주 넓다. 플라스마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엔지니어링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Part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장만할 수가 없어요. 이런 것을 가르쳐줄 교수도 없었고요. 하지만 서강대에서 만들어 준 실험실이 들어서면서 조금씩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우리 학생들도 처음으로 피펫을 잡아보고, DNA를 다룰 수 있게 됐습니다. 이번에는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광환 생명과학과 교수가 박테리아 형질 전환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