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함께 나온 훈련사가 미션을 던진다. 타겟팅 훈련이라나 뭐라나. 내겐 누워서 개껌 씹기
수준
의 쉬운 미션이다. 훈련사를 개찰구쪽으로 이끈 뒤 개찰구를 코로 ‘콕’ 찍었다. 훈련사는 성공에 대한 포상으로 오독오독 씹는 맛이 일품인 간식사료를 건넸다. 역시 꿀맛이다. 모든 훈련은 미션을 잘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말해 진공 터널에서 열차를 고속으로 달리게 하는 기술이다. 터널 속에 진공에 가까운
수준
으로 공기를 희박하게 만든 뒤 열차를 달리게 하면 공기에 의한 마찰이 줄어드는 만큼 속도가 빨라진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달릴 때 속도가 2배 증가하면 공기저항은 4배 커진다. 이로 인해 저항력을 ...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좋은 대학원이나 회사일수록 최소한으로 충족해야 하는 학점의 기준이 높아 성적을 일정
수준
유지할 필요가 있다.캘리포니아공대에서 강의 위주의 수업만 듣는다면 할 일이 이렇게까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숙제는 어쨌든 주어진 문제만 풀면 되기 때문에 끝이 정해져 있다. 그러나 연구 수업은 ... ...
[인터뷰] 호기심의 최전선을 꿈꾼다, 최재경 제8대 고등과학원장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교수가 다른 저명한 교수 및 연구원들과 함께 우리나라 기초 과학을 세계적인
수준
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제8대 원장인 최재경 교수가 생각하는 고등과학원은 어떤 곳일까? 기초 학문의 요람, 고등과학원 고등과학원은 어떤 곳인가요?상대성이론을 만든 물리학자 알베르트 ... ...
신상 콤부차 대해부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간이 덜 손상됐다는 뜻이다. 실험 결과, 콤부차를 마신 쥐는 ALT는 70.15%, AST는 71.56%
수준
으로 모두 감소했다. doi: 10.4014/jmb.0806.374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콤부차의 효능을 확인한 실험은 아직 부족하다. 2018년 줄리에 카프 미국 미주리대 박사의 리뷰 논문에 따르면 콤부차의 효능을 조사한 연구의 실험 ...
[수학뉴스] 맛있는 고기 요리를 위한 수학 모형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이 수학 모형을 3차원으로 확장할 예정”이라며 “성공한다면 육류에 대한 이해
수준
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EPJ Plus’ 3월 23일자에 실렸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충돌해 산란되는 정도를 분석하면 물체의 구조와 특성을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
까지 밝힐 수 있다.분석 결과 공동연구팀은 트로일라이트가 온도에 따라 자석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고온에서는 트로일라이트 원자의 자기 스핀(magnetic spin)이 무작위로 향하며 자성을 띠지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몇 달 이상 공을 들여야 촬영할 수 있는
수준
의 작품들도 많았다”며 “매년 출품작의
수준
이 높아져 심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웠다”고 평가했다.이원정·지구와 우주 분야 금상Lost In Space우리은하는 수천억 개의 별이 모여 만들어진 거대한 나선은하다. 그 크기는 14만 광년에 이른다. 길을 잃은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이 교수는 “과잉기억증후군이나 암기력이 뛰어난 사람의 능력을 모사하려면 세포
수준
에서 차이점을 발견해야 한다”며 “앞으로 많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광유전학 기술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광유전학은 빛에 민감한 광수용체 단백질로 세포의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성공률이 95%를 웃돈다. 거의 모든 연구가 목표한 바를 이룬 셈이다. 국내 과학기술 R&D
수준
이 높다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달리 말하면 연구자들이 실패하지 않을 안정적인 연구만 했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도 있다. 창의적이고 도전적 연구를 장려하는 선진국의 기초과학 연구 성공률은 30% 이하다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