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발자취를 따라서…수학동아 l2023년 02호
- ● 러셀의 발자취를 따라서… ● 2023년 한국.띵—. 띵—. 비행기에서 좌석벨트를 매라는 알림음에 게슴츠레 눈을 떴습니다. 정면에 있는 모니터를 확인해 보니 영국 런던에 도착하기까지 1시간이 남았네요. 저는 지금 교환학생 생활을 하기 위해 영국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2022년에 전산학과에 ... ...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흔히 수학이 중요하다는 말을 한다. 그렇지만 수학이 인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수학자와 인문학자가 함께 자주 쓰는 수학 개념에 질문을 던지며 우리가 알던 수학을 다시 한번 혹은 다르게 생각해 보기로 했다. 하나 이상의 미지수가 있는 ...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학자 : 말 그대로 x라는 기호만 없어졌을 때 어떻게 될 것이냐고 물으면 되게 쉬워요. x 대신 y를 쓰거나 나머지 25개의 알파벳으로 어떻게든 지금과 똑같은 기호화를 했을 거예요. 기호화 자체가 의미가 있는 것이지 x라는 기호가 없어지는 것은 사실 그렇게 큰 의미가 없어요. 그렇지만 기호 자체 ...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기술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 때문에 일단 정확히 쏘고 나면 거기까지 그냥 간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탐사선들은 끊임없는 제어를 받으면서 목적지에 도달한다. 탐사선 자체의 질량, 속도, 위치 등을 계속 측정하면서 목적지에 정확히 이르도록 세밀한 제어를 계속하는 것이다. 우주라는 ... ...
- 엄마가 말하는 최-정-담, 호기심이 넘쳐 흐르는 아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엄마가 말하는 최-정-담호기심이 넘쳐 흐르는 아이 ‘나를 수학 상위 1%로 만든 무기를 하나만 꼽는다면?’이란 질문에 최 작가는 “부모님”이라고 답했다. 최 작가의 동생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물리학과에 재학 중인 이공계 인재다. 최 작가의 부모님은 어려운 환경에서 아동의류 회사를 크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2023년, 인공지능(AI)은 이미 우리 삶 속에 들어왔다. 화선지 위에 떨어진 먹물이 번지듯 분명하며, 돌이킬 수 없다. 사람들의 반응은 복합적이다. 장상훈 씨(28세울산광역시)는 현재 대학에서 자율주행 자동차를 연구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론 자율주행 자동차가 도입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❷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코끼리는 열대에 사는 동물이잖아요? 왜 굳이 추운 냉장고에 넣으려고 하는 건가요⋯? 한국의 겨울은 코끼리가 감기에 걸릴 수 있어 사육사들이 특히 신경 쓰는 시기거든요.”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기 전, 우선 실험대상을 확보해야 했습니다. 지난 1월 10일, 서울대공원 코끼리사를 찾았습니다. ...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안녕하세요. 과학동아 독자분들 반갑습니다. 저는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의 DMTS(Distinguished Member of the Technical Staff) 연구원이자 미 물리학회 회원인 박혜숙입니다. 저는 1980년, 학부생의 신분으로 물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미국에 왔습니다. 미국 미시간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죠. 1987년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설의 전투용병 ‘정이’의 뇌를 복제하라!’1월 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정이’는 뇌 복제라는 신선한 소재를 다룹니다. 영화 속 군수업체 크로노이드가 정이의 뇌를 복제해 인공지능(AI) 전투용병을 개발하죠. 그야말로 영화 같은 설정이지만, 의외로 현실에서 개발 중인 다양한 과학기술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인 실리코(in silico)란 신조어가 있어요. 컴퓨터로 과학을 하는 분야를 말해요. 여기서 따온 실리코에 제약분야를 가리키는 팜(pharm)을 붙여 만든 이름이에요.” 2021년 7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대학원생들이 모여 실리코팜을 설립했다. 실리코팜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생체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