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d라이브러리
"
보통
"(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
보통
난이도 | 아로코스의 비밀 ‘태양계 행성은 미행성*이 고속으로 충돌해 만들어졌다.’ ‘태양계 행성은 미행성이 완만한 속도로 뭉쳐 만들어졌다.’ 그간 태양계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이렇게 상반된 두 가지 이론이 존재했다. 그중에서도 전자인 ‘고속 충돌설’이 우세했다.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km 거리에 떠 있는 배의 기관실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식별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1km면
보통
속도로 걸어서 10분 정도 걸리는 거리다. 게다가 20배 줌까지는 화질 저하도 전혀 없었다. 메이트 30 프로에 적용된 줌 렌즈용 이미지 센서는 800만 화소다. 박 교수는 “갤럭시 S20 울트라는 센서의 성능이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상상 속의 공룡 대신 진짜 공룡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유명한 공룡 몇 마리가 독식하는
보통
의 공룡영화가 지루해진 독자들에게 권한다. ● 불안함을 떨쳐내는 법‘나를 대하는 태도가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 자기계발서에 나올법한 이야기를 저자는 뇌의 관점에서 말한다. 우리가 느끼는 ... ...
[가상인터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이번에도 박쥐 탓?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박쥐가 염증 반응 물질인 ‘인터페론’을 항상 갖고 있다고 밝혔어. 인터페론은
보통
다른 동물들의 몸속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침입자를 물리쳐야 할 때만 만들어지지. 덕분에 박쥐는 바이러스에 자주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증상이 없단다.물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우리에게서 시작된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
보통
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생명의 진화는 일종의 방향성을 띤다고 여겨졌다. 초기 생명체가 물에서 육지로 올라와 포유류가 된 것처럼 말이다. 여기서 고래는 대표적인 예외 사례로 꼽혔다. 포유류가 육지에서 다시 물로 돌아간 ‘역진화’가 일어난 동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역진화 ... ...
[한페이지 뉴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
보통
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는 사람은 렌즈에 적힌 작은 숫자에 궁금증을 품은 적이 있을 것이다.18~55mm, 24~70mm, 70~200mm 등으로 쓰여진 숫자들은 렌즈 고유의 초점거리다. 렌즈마다 초점을 맞춰 찍을 수 있는 가장 가까운 피사체와 가장 먼 피사체 사이의 거리가 다르다는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
보통
난이도 | 식용 곤충 “한 번 먹어 보세요. 고소하고 맛있어요.”1월 31일 전북 완주군에 있는 국립농업과학원. 방혜선 곤충산업과 과장이 태연하게 갈색거저리 유충을 입에 넣어 씹어 먹더니 기자에게도 맛을 보라고 권했다. 평소 ‘못 먹는 것 빼고 다 먹는’ 기자였지만, 형태가 그대로 ... ...
[화장실의 변신 ①] 화장실 문화가 바뀌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어요. 성중립 화장실이 생긴다면?공중화장실 앞엔
보통
남자(♂)와 여자(♀) 표시가 있어요. 그런데 ‘’ 이렇게 표시된 화장실도 있어요.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성중립 화장실이죠. 2014년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트랜스젠더 응답자의 41.4%가 ... ...
[한페이지 뉴스] 나비에게 배우는 ‘완벽한 검은색’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에 대한 날개의 반사도를 측정했다. 빛 흡수율이 매우 높은 검은색 날개를 가진 10종과
보통
의 검은색 또는 갈색 날개 4종(대조군)의 반사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빛 흡수율이 높은 검은색 나비는 날개의 반사도가 0.06~0.4%에 불과했다. 이는 들어온 빛의 최대 99.94%를 흡수한다는 뜻이다. 반면 대조군 ... ...
[한페이지 뉴스] 우주에서 기른 상추 “먹어도 안전해요”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
보통
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지상 약 300km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는 ‘베지(Veggie)’라는 식물 재배시설이 있다.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발광다이오드(LED)로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일종의 ‘우주 텃밭’이다.미국항공우주국(NASA) 케네디우주센터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