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정면은 얼꽝, 측면은 얼짱!딩동댕~ 정답입니다. 멋진 사진을 찍으려면 수학을 잘 해야 해. 오늘 알려 줄 비법도 전부 수학과 관련 있거든. 아참, 내 소개를 깜빡했네. 난 오늘 용승이를 인스타그램 ... 사실! 수학 공부도 열심히 하고 멋진 사진도 찍어서 인스타그램 스타로 거듭나 보자구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둠멈추지 않아 춤을 춘다, 다시♬ 다시♬아이유의 3집 타이틀곡 ‘분홍신’을 들어보자. 밀고 당기는 박자에 몸이 저절로 들썩인다. 이게 바로 재즈다. 아이유는 ‘분홍신’을 즉흥연주 기법으로 녹음했다. 전체 흐름만 정하고 멜로디와 박자는 연주자들이 즉석에서 만든 것이다. 이런 즉흥연주는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쉽게 곡을 만들 수 있다.예를 들어 그림처럼 4개의 숫자로 두 개의 직각삼각형을 만들어보자. 위쪽의 음 3개는 C장조, 아래쪽은 C단조를 이룬다. 이런 직각삼각형 쌍을 어디에서 만들든 각 삼각형을 이루는 화음은 서로 조성은 같되 위쪽은 장조, 아래쪽은 단조가 된다. 이런 성질 때문에 서양 고전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타적 행동의 탄생, 비밀은 집단 간 선택어리둥절할 독자를 위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자. 이웃을 만나기만 하면 무조건 비용을 감수하며 이득을 주는 협력자들과, 남들로부터 받기만 하는 무임 승차자들이 존재한다고 하자. 협력자의 전체 빈도는 50%이고, 따라서 무임승차자의 전체 빈도도 50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불여일견. 오른쪽 QR코드를 읽어들여 동영상부터 보자. 반투명한 고무풍선처럼 생긴 물건 안으로 빨간 물감을 주입하자, 풍선 안쪽의 혈관(?)이 드러난다. 구석구석 흐른 빨간 물감이 곧 밖으로 뚝뚝 떨어진다. 쥐 같은 작은 동물의 심장 같기도 한 영상 속 물건은 놀랍게도 시금치 이파리다. 두 번째 ... ...
- [매스미디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파괴할 거라고 예상한다. 마블 시리즈 곳곳에 등장하는 인피니티 스톤의 특징을 살펴보자. 세 번째 어벤져스, 출격 준비 완료!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개봉 소식과 함께 새로운 스파이더맨, 어벤져스 세 번째 시리즈 ‘인피니티 워’도 개봉 소식을 알렸다. 마블을 대표하는 영웅 스파이더맨은 ... ...
- 제19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알아보는 기회로 삼으면 어떨까. 열아홉 번째로 열리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에 도전해보자.통계포스터가 뭐지?통계포스터는 주제를 정한 이유와 데이터, 결론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포스터다. 아래 수상작 사례를 보면 조사 동기와 조사 방법, 조사 결과, 결론이 모두 한 장에 담겨있다 ... ...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게임에서 진다. 2 무조건 이기는 경우 찾기무조건 이기게 되는 경우가 있을까? 이를 따져보자. 1×1 초콜릿을 갖게 되면 무조건 진다. 그런데 이 말은 1×n(또는 n×1, n>1) 초콜릿을 받아 쪼갤 수 있다면 무조건 이긴다는 소리다. 초콜릿을 쪼개 1×1 초콜릿을 상대방에게 줄 수 있기 때문이다.2×2 초콜릿을 ...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못 댔던 퍼즐이 있다면 그날 들고 오면 된다. 시끌벅적하게 떠들면서 수학적 유희를 즐겨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즐거운 퍼즐 파티 매스잼Part 1. 웰컴 투 매스잼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키우는 것처럼, 나노물질이 자라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는 방식이다.퀀텀닷을 예로 들어보자. 퀀텀닷은 스스로 빛을 내는 나노미터 단위의 반도체 결정을 말하는데, 크기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 특히 전력을 적게 공급해도 현재보다 다양하고 세밀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서 차세대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