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d라이브러리
"
도달
"(으)로 총 2,030건 검색되었습니다.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굽이굽이 복잡한 장애물이 있어도 뱀처럼 휘감아 들어가며 목적지(환부)까지
도달
했다. 굵기는 엄지손가락의 서너 배 정도로 충분히 내시경으로 쓸 수 있다.연구팀 직원이 조종대에 앉아 몇 개의 스위치를 누르자 수술도구가 순서대로 튀어 나왔다. 환부를 잘라내고, 꿰매는 것이 가능하고,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지닌다. 해저 지진 등과 같은 이유로 넓은 지역에서 파도가 갑자기 만들어지면 연안에
도달
할 때 대단히 큰 높이를 형성하기도 한다.특히 쓰나미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진행 속도다. 쓰나미는 수천 m나 되는 대양의 수심이라도 마치 얕은 수심처럼 느끼며 진행한다. 이론적 진행속도는(중력가속도 ... ...
날개 두 겹으로 초음속 뚫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못하고 막혀 버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초음속에서는 훌륭하게 작동하지만, 초음속에
도달
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부스만의 모형을 바탕으로 여러 속도에서 여러 모양의 날개를 실험했다. 가장 방해를 덜 받는 날개 모양을 계산했고, 700여 개의 결과를 ... ...
건축도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형태로 천장이 높고 홀의 폭이 좁아 측벽을 통한 음의 강한 반사가 빠른 시간 내에
도달
한다.(…중략…)그 해답은 건축설계에 있었다. 요즘 건축물은 외형적 예술성만을 추구해서 독창적인 건축물들이 많다. 이로부터 발생하는 음향학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형태는 멋있지만 소리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구 대기를 통과하지도 못한다. 감마선과 엑스선은 대기 상층부에서 가로막혀 지상에
도달
하지 못한다. 파장이 10m를 넘는 전파도 대기에 가로막히고, 자외선과 적외선은 일부만 통과한다. 방해꾼인 대기를 피하는 방법은 하나, 바로 망원경을 들고 우주로 나가는 것이다. 우주망원경은 지상에서 볼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이다. 만약 케이블이 문제였다면 중성미자가
도달
한 시간은 작년 실험보다 길어져야 한다. 이 경우 빛보다 빠른 뉴트리노는 오류로 판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신호발생기가 문제였다면 뉴트리노의 속도는 오히려 더 빨라져야 한다. 현재 연구소는 어느 쪽이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귀를 움직일 수 있어서 소리의 방향을 잘 알아차린다. 소리의 방향은 양쪽 귀에 소리가
도달
하는 시간차에 의해 구별한다. 사람의 경우 대략 16방향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지만 개는 그 두 배 이상의 소리방향을 구분할 수 있다. 음색을 식별하는 능력도 탁월하다. 비슷한 목소리의 사람도 쉽게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한 번 뿐일지 모르는 색다른 경험을 했을 것이다. 무려 74억 년을 여행해 마침내 지구에
도달
한 빛을 맨 눈으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74억 년 전이면 태양계가 존재하기도 전이다.빛공해가 없는 외진 곳 ‘별이 쏟아지는’ 밤하늘이라도 맨눈에 보이는 별은 3000개 정도다. 단 하나를 빼고는 모두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과 같다) 인지능력이 향상된다. 사실 수초화는 50세 무렵에 이르러서야 정점에
도달
한다고 한다.1999년의 논문은 청소년기의 뇌 발달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음을 명백히 보여줬지만 이를 뇌의 기능과 연결시키지는 못했다. 뇌를 네 부분으로 나눠 분석해서는 이런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 ...
페름기 대멸종 시베리아 화산 때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금속 화학물질도 성층권의 오존층을 심각히 훼손했을 가능성이 크다. 성층권에
도달
한 할로겐 물질은 기온 변화와 산성비를 내리게 했을 수도 있다.연구진은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가 당시 대멸종을 유발할 정도의 기후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한 대기화학과 기후모델 연구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