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바이오 전자혀는 설탕, 사카린, 아스파탐, MSG등의 맛의 차이를 인간의 혀와 똑같이 구분해냈다. 게다가 인간의 혀로 감지할 수 있는 농도의 1만 분의 1 수준의 낮은 농도에서도 맛을 감별했다. 박 교수팀은 이듬해 부패할 때 나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바이오 전자코’도 구현했다. 연구팀은 ... ...
- 이화여대 뇌·인지전공장학생 정지원 - “진로 정한 뒤 ‘올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냉정하게 살펴보고 면접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정신질환 단계별 구분법 개발할 것”정 씨가 뇌과학으로 진로를 정한 건 고등학생 때 읽은 기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기사는 학교폭력 가해자가 조현병을 이유로 감형을 받으려 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정신질환이 있다고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8] 자기소개서, 어떻게 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역량 중심으로 정리해보자. 역량은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다음 자신이 한 활동이 어떤 역량을 강조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자. 이 과정은 자기소개서를 쓰기 위한 소재를 고를 때 이정표 역할을 한다. ➌ 각 문항별 평가 역량에 가장 적합한 소재 ... ...
- [현장 취재] 로봇과 친해지는 특별한 경험! 연극 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에디는 천장에 달린 CCTV로 어린이들이 쓴 헬멧의 색을 인식해서 관객을 구분할 수 있답니다. 또한 몸통에는 압력 센서가 붙어 있어서 관객들이 로봇을 쓰다듬으면 이에 반응할 수도 있지요. 관객들은 연극이 진행되는 동안 에디를 도와 반짝반짝 빛나는 우주 광물을 줍고, 화면 앞에서 팔을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책상에 놓아둔 컵에서 떨어진 물방울과 헌트가 흘린 땀방울을 구분할 수도 있는 셈이다.지금도 여전히 첨단기술로 꼽히는 부분도 있다. 컴퓨터실은 음성인식과 망막인식을 이용해 신원을 확인한 뒤에야 접근이 허용된다. 헌트가 공중을 택한 이유도 이런 다중 보안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현상을 말한다.생물 분자들 사이의 거리는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하다.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그럴 때 분자 각각에 색이 다른 형광 물질을 부착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거리에 따라 두 형광 물질의 밝기가 달라지고 그 결과 색깔이 바뀌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분자들의 상호작용을 ... ...
- [과학뉴스]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교수는 “지문 센서에는 온도 센서와 압력센서도 함께 탑재해 위조 지문과 실제 지문을 구분할 수도 있다”며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하는 등 앞으로 쓰임새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38/s41467-018-04906-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확률이 50대 50인데 말입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도 없이 나팔관의 안쪽과 바깥쪽을 구분하는 비결이 궁금해집니다. 난자로 향하는 정자의 직관적인 움직임은 세 가지기작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주열성(thermotaxis)’입니다. 주열성은 서로 다른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가 높은 쪽 ... ...
- [과학뉴스]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따라 최대 흡수 파장이 달라지도록 설계됐다. 22개의 염기서열 중 단 한 곳만 다른 miRNA도 구분해낼 만큼 정확하다. 이 책임연구원은 “질병 진단뿐 아니라 miRNA의 양을 추적해 약물 투여 전과 후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16/j.bios.2018.04.03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쪽으로 가까이 내밈)은 확신을, 수축(상대로부터 멀어짐)은 흥미 감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령, 대화 중에 배꼽이 문이나 출구 쪽으로 향한다면 대화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숨은 감정의 표출이다. 시선과 배꼽이 각각 다른 사람에게 향해있다면, 시선보다는 배꼽이 향한 쪽의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