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과
과상 돌기
복사뼈
국
속
학부
전공
d라이브러리
"
과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지나치게 좋거나 나쁜 상태가 나타나는 기분장애다. 2014년 미국 미시간대 의대 정신
과
의 멜빈 맥기니스 교수는 목소리의 크기와 말의 빠르기 같은 통화 중 음성 패턴을 분석해 조울증을 진단하는 ‘프라이어리’ 앱을 개발했다. 이 앱은 조울증 환자들이 자신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비행기, 공기나 물의 흐름
과
관련 있는 현상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스키점프 선수들의 공기저항을 측정하는 데 이용하기도 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 빠르게 더 폼나게, 수학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한국암재단장학금, 서울대병원 앙드레김 어워드 등을 받았다. 종양 유전체학
과
임상을 연결할 수 있는 중개연구가 주된 관심사이며, 유전체 분석 기업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 및 신약개발 기업 메드팩토에서 임상시험본부장을 역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 ...
[300호 기념 특별 이벤트] 인기 캐릭터를 잡아라! 어
과
동 GO!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어린이
과
학동아 300호 이벤트 페이지 - http://dev-kids.dongascience.com/event300*EVENT3 3월 15일 오후 3시 판매 OPEN -
과
학동아몰 www.scimall.co.kr ...
[
과
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지구형 행성’이랍니다. 이런 조건에서는 물이 액체 상태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과
학자들은 트라피스트-1 주변의 행성에도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어요.연구를 이끈 벨기에 리에주대 미카엘 지용 교수는 “트라피스트-1
과
같은 항성계가 흔하다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도 흔할 ... ...
[헷갈린
과
학] 낙타와 똑 닮은 라마vs알파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라마는 낙타와 조상이 같은 친척 관계예요. 서로 얼굴 생김새가 비슷해 라마를 ‘아메리카 낙타’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하지만 라마는 ... 낳을 수 있어요. 이렇게 태어난 종을 ‘후아리조’라고 부르지요. 이 종은 독특한 털
과
온순한 성향을 갖고 있지만, 다시 자손을 낳을 수는 없답니다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
과
교수 박석봉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농구 선수 ‘ 순시카네 꼬를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아주 중요한 인물이 나타났습니다. 조각 퍼즐을 맞추면 누가 나타날까요? 힌트는, 바로 어
과
동 창간호 표지 주인공이라는 사실!”다행히 동점에 성공한 썰렁홈즈를 보고 심판이 크게 외쳤다!“썰렁홈즈 우승!”그리고 나서 심판은 다시 ‘순시카네 꼬를너’의 손을 들어 주며 말했다.“순시카네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마고의 눈길을 피해 슬그머니 다시 화장실로 돌아갔다. 서둘러 화장을 지우고 안경
과
모자를 벗었다. 눈에 띄지 않게 다시 섞이려면 아직 사람들이 많을 때 나가야 했다.세면대에 서서 거울을 보며 얼굴을 확인하던 하림은 마고의 행동을 생각하자 소름이 돋았다.그렇게 경보를 내리고 신분증 검사를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서둘러 찾아야만 한다. 애벌레들이 해결사가 돼주기를 바라는 이유다.+더 읽을거리in
과
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2017.5)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5N037‘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2008.3)dl.dongascience.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