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1,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찜질방에서 과학과 숨바꼭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
변색된 거란다. 삼겹살을 구우면 분홍빛 고기가 갈색이 되는 것과 같은 원리지.찜질방도
실험실
심장의 움직임을 보자!고온의 찜질방에 있으면 심장도 두근두근 빨라진단다. 찜질방에 들어 간지 5~10분 뒤에는 맥박이 평상시보다 30~40회 늘어나고 혈압도 올라간다고 해. 이런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 ...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03
2006년 9월 기준). 1번 수소부터 92번 우라늄까지는 자연에 실재하는 원소지만 나머지는
실험실
에서 만든 인공 원소다.주기율표는 다국적 과학자들이 힘을 모아 만든 거대한 모자이크 그림이다. 원소의 이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원소가 지닌 특성부터 발견한 과학자의 국적, 철학까지 꿰뚫어볼 수 ... ...
'효소 철기군'이 유전병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3
보다 못해 최근 바이오 업체 설립에 나섰다.“우리의 연구 노하우를 활용하면 DNA 연구
실험실
에 효소를 공급하는 회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분야 전문가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제가 나설 수밖에 없었어요. 우수한 연구원들이 학교 밖에서도 마음 놓고 연구할 수 있는 거점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 ...
놀이공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
땅 에 붙어있을 수도 없다. 결국 중력이 없다면 지구에 생물이 살 수 없다. 살아있는
실험실
나도 전기를 만들 수 있어!전기는 발전소에서만 만들어 내는 것? 노~노~! 그런 낡은 생각은 버려! 과학 원리를 조금만 이용하면 누구나 전기를 만들 수 있다구. 주변에 있는 물체로 간단하게 전기를 만들어 ... ...
PART2 3R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02
없는지(생식독성시험) 알아보는데 많이 쓰인다.하등동물은 경제적이기도 하다. 필자의
실험실
에서 사용하는 제브라피시는 성체가 되는 데 세 달밖에 걸리지 않는다. 한번에 200~300개의 알을 낳기 때문에 번식력도 좋다. 실험용 쥐가 한번에 6~10마리 낳는 데 비하면 엄청난 번식력이다.특히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02
놀란 눈을 하며 손가락을 입에 대고 아무 소리도 내지 말라고 경고했다.실험이 끝나고
실험실
이 조용해지자 김 탐정이 물었다.“이건 뭐하는 장치인가요?”“지하철이 곡선구간을 달릴 때 차바퀴가 레일을 미끄러지며 내는 소리를 재현하는 장치죠. 커다란 차바퀴로 실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작은 ... ...
가마와 벽화에 남은 자기장의 흔적
과학동아
l
200702
알 수 있다. 끈적끈적한 테이프를 벽화의 일부분에 댔다가 떼면 물감이 얇게 붙어있다.
실험실
에서 이 테이프를 조사해 자철광 알갱이의 방향을 현재의 지구 자기장의 북극 방향과 비교하면 된다. 달에는 자기장이 없다? |가마나 벽화에 남은 증거를 보면 지구 자기장 북극의 방향이 조금씩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01
연구대상인 병원(病源) 미생물(세균 · 바이러스 · 진균 · 기생충 등)에 감염되는
실험실
내 감염과 병원에서 의사 등 종업원이나 환자가 약재 내성균(耐性菌) 등에 감염되는 병원 내 감염이 문제가 된다 두 단결정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괴상(塊狀) 결정체 다결정체(多結晶體)세라믹스 재료의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01
‘예쁜 눈 유전자’ ‘예쁜 입술 유전자’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KAIST 분자생리학
실험실
박기연 연구원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말했다.먼저 눈, 코, 입 등 얼굴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형태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고 각 기관으로 분화하는 과정을 알아낸다. 예를 들어 눈과 관계된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01
Wetland)라는 책을 읽었는데, 그게 생태공학과의 첫 인연이었다. 그러다가 미취 교수의
실험실
을 방문해 같이 연구하고 논문을 발표할 기회가 있었고, 그 인연으로 생태공학은 강 교수의 평생 ‘업’이 됐다. 미취 교수는 현재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로 있으면서 ‘생태공학’이라는 학술지를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