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24일 ●보이는 별 수:13개
작은
개자리는 1등성 프로키온과 3등급의 베타별 단 2개로 연결된
작은
별자리이다. 하지만 시리우스, 베텔규스와 함께 ‘겨울 대삼각형’의 동쪽 모서리에 위치한 프로키온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이기도 하다.프로키온은 -0.4등급으로 전 하늘에서 8번째, ... ...
19세기의 유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하지만 당시 과학자들은 혼란에 빠지고 말았다. 그들은 원자는 더 이상 쪼갤수 없는 가장
작은
물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X선 베크렐선 전자 등이 발견된 것이다.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데 어떻게 강한 에너지를 가진 방사선이 나올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원자 ... ...
① 편리하고 저렴한 인터넷 쇼핑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상점에서 파는 물건에는 3천원에서 1만원 가량의 배송료가 붙는다. 이윤이 배송료보다
작은
경우 물건값은 일반 매장에서 파는 것보다 비쌀 수 밖에 없다. 그렇지만 직접 매장에 찾아가는 시간과 교통비를 계산하면 배송료는 충분히 보상된다.종합쇼핑몰 3선본격적인 인터넷 상점을 표방하고 나선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정도의 극장 수준 대화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이 미세거울 장치는 수십만개의 아주
작은
거울들을 한개의 칩에 집적한 것이다. 이 거울들이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시켜 영상정보를 영상으로 만들어준다. 머지않아 영화 필름 수준의 해상도를 갖는 고화질 고휘도 디스플레이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우주 속을 날게 해 줄 뿐 아니라 꿈을 심어 준다. 이 넓디넓은 우주에서 오직 지구라는
작은
행성에만 국한되어 생을 살아가기에는 너무 답답한 것이다. 더구나 태양계로부터 가까운 별들까지의 거리조차 우리에게는 너무 멀어 여행이 불가능하다는 사실까지 고려하면 UFO는 우리에게 구세주와 같은 ... ...
② 네티즌과 즐기는 신나는 게임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찾아 헤매는 게임이다. 3D 미로 게임으로 원근감과 좌우상하 시점 움직임이 자연스러워
작은
모니터로는 멀미가 날 정도다. 전세계에는 퀘이크2를 함께 즐기려는 접속 서버만도 수백개에 이르며, 멀티플레이 접속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판매하고 있다. 베타 버전도 있지만 제한이 많이 따른다. ... ...
녹차가 암세포 성장 둔화시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녹차가 건강에 좋다는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많이 발표돼 왔다. 이 주장을 좀더 과학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실험결과가 미국 퍼듀대학의 도로시 머레이와 제임스 머레이 부부에 의 ... 때 결국 죽게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으로도 큰 성과다. 과연 녹차는 자연이 인간에게 준
작은
선물일까 ... ...
전자잉크, 전자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불리는 신기술을 선보였다.이 기술에서는 눈으로 보기에도 어려울 정도로 아주
작은
머리카락 두께의 캡슐에 들어있는 염료를 이용한다. 검정색 염료와 흰색 입자들로 가득 채워진 많은 캡슐을 미립자삽입기술(Microencapsulation)을 이용해 종이나 인쇄물에 심는다. 그리고 이 물질에 전기를 통하면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주변소자로 이뤄졌다. 또 면적을 넓혀 용량을 키우는 것도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작은
면적에 많은 단위소자를 넣는 설계기술은 반도체 재료의 발전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실현될 수 없다.현재 반도체의 박막은 10nm(1백만분의 1cm)의 두께로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원자 크기의 수십배 수준의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연속성과 결합돼 있어서 양자전기역학을 실제 적용해서 이론값을 계산하려 할 때,
작은
양을 계산할 때에도 무한대의 양이 튀어나오게 한다. 이러한 모순 때문에 1930년대의 물리학자들은 초기에 형성돼가던 양자장론을 포기하고 더 이상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2차대전 후에 ... ...
이전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