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중계전원총괄업무를 수임받아 올림픽 전 경기장의 시설을 분석하고 연구했다. 지금도
서울
올림픽을 생각하면 자긍심이 솟아나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도 앞으로 기술자의 길을 가는데 상당히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한다.●- 제2의 사농공상 첨단과학이니 2000년대를 향한 과학기술이니 ... ...
기적의 에너지 시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한국과학기술원 윤경석박사팀과(제련전기화공연구실) 한국화학연구소 이규호박사팀
서울
대 박영우고수팀(물리학과)은 최근 상온에서 중(重)수소에 염화리튬을 탄 용액에, 백금(+)과 팔라듐(-)을 양극으로 전류를 흐르게 한 결과, 핵융합반응에서만 볼 수 있는 몇가지 현상이 일어났다고 발표했다. ... ...
항생제 KR 10664 개발한 김완주 박사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원래 김박사는 정치가나 외교관 지망생이었다. 그래서 전주고를 졸업한 후 2번이나
서울
대 정치외교과를 지원했으나 결과는 낙방이었다.3수생이었던 김박사는 실로 우연하게 약학에 입문하게 된다."2년 거푸 떨어지고 나니 집에서는 이제 문과는 안된다고 못을 박았지요. 그때 이과로 옮기는 데 ... ...
PARTⅠ 자기부상열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여객기(5시간소요)와 비교, 약 15배의 속도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계획을
서울
과 부산에 그대로 옮겨놓는다면 1분만에 주파가 가능하다.이 연구의 핵심은 지하 수십 내지 수백m 깊이에 지하터널을 뚫어 직경 12m의 튜브를 2~4개 만들고 이 튜브안을 진공화 하는 것. 튜브안을 달리는 열차는 ... ...
고3병의 예방과 치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학업을 계속할 수 있는 용기가 되살아나게 되었다. 남은 기간동안 열심히 공부하여 그는
서울
시내에 있는 모 대학에 무난히 합격, 지금은 어엿한 대학생이 되어 있다.가까운 사람들의 이해를 통해 한 사람이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은 그 사람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특성과 사회환경으로부터 비롯된다 ... ...
한국의 수학두뇌 만들기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정수에 관한 문제들이다.매년 KMO 상위 5명에게는 금상이 주어지는데 특이하게도 아직도
서울
에 있는 고등학교 소속 학생은 받지 못했다.아무튼 우리는 고등학교 수학의 최고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수학공부를 한다면 앞서 김진석군의 편지에서처럼 수학공부의 어려움은 ... ...
정보과학회 학술발표회 개최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발표회에서는 '2천년대 컴퓨터'를 주제로 이만재박사(ETRI) 김진형교수 (KAIST) 조유근교수(
서울
대)가 주제발표를 했다.이번 학술행사에서는 소프트웨어 공학 데이타베이스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정보통신 분야등에서 1백여편의 논문이 새로 발표되었다 ... ...
기초과학 육성 1백만명 서명운동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원로·중진교수들과 주요학술단체장들로 '기초연구활성화추진협의회'(회상 고윤석
서울
대교수)를 발족하고 1백만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서명운동도 벌여나가기로했다.과학기술인들은 선진국들의 기술개발경쟁이 점차 치열해짐에 따라 예전에는 대부분 공개발표되었던 기초과학연구성과들이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생물이 웃고 있을 때 인간은 우는 것으로 보기 쉬우며 그 반대의 경우도 흔하다.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다른 감각 세계를 살고 있다. 즉 다른 생물들이 보고 듣고 냄새맡고 느끼는 일을 결코 동일하게 따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생물의 감각세계에 대한 오해가 수없이 많다.가령 풀밭에 화려하게 피어 ... ...
동경의 에너지 핵 융합 발전의 가능성 점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미국의 TFTR 등이 거의 로슨조건, 즉 분기점(Breakeven)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국내에도
서울
공대 핵공학과에 SNUT79라는 토카막이 건설되었고(사진참조) 에너지 연구소에도 소형이 건설되었으나 아직 초기단계이다. 현재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많은 진전이 있으나, 아직도 공학적인 문제가 해결 안되고 ... ...
이전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