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같은시간
"(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가 태평양에 수장된다. 이것은 헤비급 인공위성이 맞이하는 최후의 모습이다. 인공위성이 겪는 또다른 최후는‘우주쓰레기장’에버려지는 것이다. 하지만 위성이 늘어날수록 우주쓰레기는 넘쳐날 전망이다.지난 1986년 발사해 15년째 지구를 돌고 있는 무게 1백40t의 우주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겨울철 자연이 만든 눈부신 아름다움의 결정체, 눈. 고대인들은 눈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을까. 아마도 지금의 사람들과 비슷한 궁금증을 가지지 않았을까. 왜 6각형 구조인지, 왜 그렇게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지…. 눈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자.고대 문헌에도 나와있을 정도로 눈의 6각형 구조는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일본에서 처음 시작한 감성공학은 국내에도 일찍 알려져 이미 다른 선진국보다 빠르게 시작됐다. 1995년 시작한 G7 감성공학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미래를 내다보고 남보다 앞서서 시작한 감성공학에 대한 연구는 과연 어디까지 왔을까.자동차를 타고 집안에 들어서자 차고문이 자동으로 열린다. 차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대롱모양이면서 굵기가 10억분의 1m밖에 안되는 탄소나노튜브는 도체이다가 다발로 있을 때는 반도체가 된다. 또 이들이 십자모양으로 배열되면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지고, 디스플레이에서는 전자총으로 쓰인다. 이렇듯 요술지팡이 같은 탄소나노튜브와 인연을 맺은 물리학자가 있다. 곰곰히 생각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얼마 전까지만 해도 네티즌하면 가장 신세대고, 첨단을 달리는 젊은이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이제는 그들도 구세대가 되고 있다. 2001년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멀티즌 때문. 최첨단으로 무장한 멀티즌의 세계를 따라가보자.컴퓨터를 앞에 두고 말없이 키보드만 두드리던 ‘침묵의 시대’는 끝난 것 ...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소화에 대한 연구로 가장 유명한 사람은 파블로프다. 그는 소화의 생리적 메커니즘을 연구해 190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런데 파블로프보다 훨씬 앞서 소화 메커니즘을 연구한 학자가 있었는데….19세기 초반까지 소화가 어떻게 되는가, 즉 소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새나 개 같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할리우드의 영화‘아이다호’에는 생소한 정신 질환이 등장한다. 도로 한복판에서 잠이 들어버리는 주인공 리버 피닉스. 바로 기면 발작 때문이었다. 영화 때문에 슬프지만 아름다운 질병으로 기억되는 기면 발작. 도대체 어떤 질병일까.시도 때도 없이 잠의 나락에 빠지는 청년이 있다. 어려서 어 ... ...
쥐불놀이에 숨어있는 눈의 속임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눈. 수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뇌로 전달해주지만, 때로는 움직이는 물체에 쉽게 속아넘어가기도 한다. 생활 주변에서 눈의 이런 성질을 잘 이용한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과연 어떤 것일까.정월 대보름날. 모험이와 슬기는 시골에 계신 할아버지, 할머니 댁에 놀러갔다. 반 ... ...
알루미늄 포일의 변신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우리 주변에 있는 물건 중 가장 순도가 높은 것은 아마 알루미늄 포일이 아닐까?순도 99.9%를 자랑하는 알루미늄 포일을 가지고 간단한 실험을 해보자.뚝딱 실험 1 수소 만들기왜 그럴까?!유리잔에 처음에는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조금 시간이 지나면 알루미늄 포일의 표면에 하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천재와 인재가 끊이지 않은 사고일지미르가 1986년 2월에 발사된 이후 15년의 우주체류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는 무려 1천4백여건이 넘는다. 이중에는 미르의 노후화에 따른 천재도 있었지만 승무원의 운영 미숙에 의한 인재 또한 있었다.사실 기계는 어느 정도 사용하다보면 잦은 고장과 사고를 겪기 ... ...
이전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