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종기가 사람 잡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한방 치료가 양방 치료와 거의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부작용도 피할 수 있다는
점
에서 흥미롭다. 침 맞으면 가려움이 싹피부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이 가려움이다. 가려움은 침으로 치료할 수 있다. 침 치료가 마취를 비롯해 통증을 억제한다는 연구는 많다. 그런데 사실 가려움증과 통증은 ... ...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콜모고로프 척도는 소련의 과학자 안드레이 콜모고로프가 1940년에 난류 속의 두 지
점
의 속도가 같을 확률을 정량화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게라르도 노미스 박사는 “고흐가 그린 소용돌이 모양이 콜모고로프의 법칙과 맞아 떨어진다는 것이 신기할 뿐”이라고 말했다.고흐가 정신적으로 ... ...
1. TV는 미래를 싣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문제가 된다. 지금도 콘텐츠의 수요와 공급은 지나치게 불균형 상태에 있고, 앞으로
점점
심화될 것이 확실하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중복편성도 심화되고, 결국은 저질 콘텐츠가 판을 친다. 이 현상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산업·기술 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문화 중심적 사고로 빨리 전환하지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연해주였다. 한국과 중국, 러시아의 발해관이 크게 어긋나기 시작하는 지
점
이 바로 연해주의 발해 역사였기 때문이었다.현재 발해의 주체와 영토에 관해서는 세 나라 사이에 공통된 학설이 없다. 각 나라의 입장에 따라 학설을 정리했을 뿐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한국은 언제부터 발해를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바는 무엇일까. 성급함 때문에 충분히 보고 알 수 있는 사실마저 간과해버리고 말았다는
점
이다. 통계학에서 ‘표본 선택 편의’(sample selection bias)는 이와 같은 실수를 말한다. 즉 ‘표본 선택 편의’는 전체를 아우르지 못하는 표본을 선정해 발생하는 잘못된 결과를 가리키는 통계학 용어다.표본 ... ...
시간의 흐름 속에 탄생한 생명의 신비를 느끼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공룡화석 모형으로 생태와 종류별 특징을 공부해보고 ‘나비와 나방’에서는 차이
점
을 따져보자. 박물관 밖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체험교실’도 있다. 민물고기의 생태를 알아내기 위해 직접 잡으러 가거나 곤충을 채집하기도 한다.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Best 아름다운 광물형광광물(왼쪽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배추김치의 오묘한 맛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바로 환원론의 맹
점
이다무성생식에 의해 한 개체에서 만들어진 유전적으로 동일한 생물체의 집단을 클론이라고 한다 옛날부터 원예에서 많이 이용돼 왔다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동일한 동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아니라 상용화까지는 10년 이상이 걸린다.앞으로 브라운관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장
점
인 좋은 화질을 강조하고 얇게 만들어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한다면 30인치 이하에서는 보급형 TV로 당분간 그 명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도 LCD, PDP 에는 못 미치지만 두께 30cm의 슬림형 브라운관이 시판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우리나라 사람들은 요즘 들어 식생활이 크게 바뀌면서 성인병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
점
이 드러나고 있다. 지금까지 주로 쌀을 먹으면서 살아왔는데, 상대적으로 생소한 음식인 빵이나 피자를 많이 먹으면서, 밀가루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매우 많다. 최근 음식이 달라지면 ... ...
귀신도 과학적으로 해부해 집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잘 쓴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는 이 작가는 전문적인 글쓰기 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점
을 오히려 다행으로 여긴다. 그랬다면 그의 글이 기성문단의 틀에 갇히고 말았을 터라는 것이다. ‘퇴마록’ 역시 세상의 빛을 보기 힘들었으리라. 그의 차기작이 기대된다 ... ...
이전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