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해 가을 경주 토함산 중턱은 단풍으로 온통 노랗게 물들었다. 1989년 가을 경주, 남홍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펠로우(당시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그때를 이렇게 기억했다.“아름다운 단풍을 보면서 불현듯 단풍이 어떻게 조절되는지 잘 모르겠더군요. 마침 한국에 돌아온 지 얼마 안된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난 4월 2일, 전국 599팀, 2306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맞이한 4기 지구사랑탐사대의 공식 활동이 시작됐어요. 바로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홀에서 열린 발대식이었지요. 이날 참석한 600여 명의 대원들은 축제처럼 즐겁게 지사탐 활동에 대해 배우고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는 시간을 가졌어요. 4기 발 ... ...
- [수학뉴스] 만점 금메달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지난 7월 6일부터 열흘간 홍콩에서 2016 국제수학올림피아드가 열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6명이 대표로 뽑혀 이틀간 4시간 30분씩 고난이도 문제와 사투를 벌였습니다. 한국대표단이 어떤 활약을 펼쳤는지 한국대표단 부단장으로 현지에 가신 KAIST 엄상일 교수님에게 물었습니다.Q. 한국대표단에게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학교를 들어서자마자 원자력 발전소에서나 볼 법한 방사선 마크, 탄소와 수소 화합물 벤젠, 기계의 필수요소 톱니바퀴가 신입생 지우에게 달려든다. 각각은 원자력공학과, 화학과, 그리고 기계과를 나타내는 상징이다. 이처럼 첫 화부터 이공계를 나타내는 상징물이 대거 등장하며 이공계 개그 만 ...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여름에는 매미가, 가을에는 귀뚜라미가 개성 있는 울음소리를 냅니다. 곤충에게는 사람 귀와는 분명히 다르지만 소리를 듣는 기관이 있어요. 놀라운 사실은 우리가 듣는 것보다 실제 곤충소리는 더욱 다양하다는 점이에요. 곤충마다, 동물마다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이랍니다!소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수학문집 어벤져스 모여라!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지요. 그래서 편집위원, 이름하여 ‘수학문집 어벤져스’를 잘 뽑아야 합니다. 이들은 친구와 선후배가 1년 동안 구슬땀을 흘리며 완성한 수학 작품을 책임감 있게 문집으로 엮을 요원들이지요.편집위원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구가 더워질수록 귀신도 진화하고 있다. 화면에서만 보던 귀신은 가고 내 등 뒤를 쫓아오는(!) 귀신이 나타났다. 가상현실(VR) 속 귀신이다. VR의 킬러 콘텐츠로 급부상하고 있는 VR 공포 콘텐츠, 기자가 직접 체험해 봤다. 귀신을 눈 앞으로 튀어나오게 하는 기술에 대해 알아보는 게 목적이었는데…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시원하게 빙하로 뒤덮인 겉모습과 달리 북극해는 요즘 ‘핫’하다. 8개 연안국의 영유권 전쟁 때문이다. 남극조약에 따라 누구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남극해와 달리, 북극해의 70%는 주인이 있다. 문제는 8개국이 각기 자국의 영역이라고 주장하는 바다가 겹친다는 점이다. 7월 11일부터 8월 27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세종시에 있는 고려대 세종캠퍼스에는 전세계에 하나뿐인 학과가 있다. ‘가속기’라는 거대 장치를 개발하는 연구자 및 기술자를 길러내는 가속기과학과다. 그곳에서 미래의 가속기 전문가들을 키우고 있는 김은산 교수를 만나 봤다.“대중은 새로운 입자를 발견한 것처럼 화려한 성과에만 주목 ... ...
-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시체의 뼈를 빠뜨리고 온다거나 시체가 발견된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기록하지 않는 일도 많았다. 시체농장의 설립자인 윌리엄 배스 박사의 책에도 그런 사례가 나와있다. 어느 여름날 경찰이 변사체를 비닐 가방에 담아 실험실로 옮겨왔다. 그런데 운반하는 동안 시체에 있던 구더기들이 변사체를 ... ...
이전671672673674675676677678679 다음